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

 1  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1
 2  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2
 3  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3
 4  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4
 5  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5
 6  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재전우 간재전우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진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 차
Ⅰ.서론
Ⅱ.본론
1.간재 전우에 대해
2.생애와 활동 사항
3.학문과 도학진흥
4.평가
Ⅲ.결론
Ⅰ.서론
광주 전남 지역의 대학을 다니고, 광주에서 역사를 배우는 한 사람으로 서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중 한 명인 간재 전우에 대해 한 번쯤 관심을 가져 볼 만한 인물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간재 전우는 조선 시대 성리학의 대부 중 한 명으로도 꼽히는데, 조선조 정통 성리학의 최후의 한 사람으로 꼽히기도 하는데, 그 만큼 그의 성리학적 연구 업적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는 뜻이다. 그의 견해는 도학 정신에 더욱 투철했던 것이었지만, 김평묵에게 쓴 소리를 들을 정도로 그의 도학 정신은 올곧았다. 제자 중 개화한 사람의 명부를 지워버릴 만큼 정통 주의적이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 논문에서 간재 전우의 대한 간단한 설명과 생애를 먼저 다루어 간재 전우에 일생을 살펴보기로 할 것이다. 그리고 간재 전우가 일생을 살면서 겪었던 일이나 활동 했던 사항을 다룰 것이며, 근래 와서도 높이 평가 되고 있는 간재 전우의 학문과 그 학문을 통하여 전우 자신은 전통적 도학의 중흥만이 국권회복의 길로 여겼던 도학 진흥에 대해서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이이와 송시열의 사상을 계승하려고 힘썼던 간재 전우의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Ⅱ.본론
1.간재전우의 대해서
전라북도 전주 출신. 본관은 담양(潭陽).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 아버지는 재성(在聖)이다. 임헌회(任憲晦)의 문인이다.전주에서 태어나 서문밖 청석동(靑石洞)에서 자랐다.
2. 간재전우의 생애와 활동사항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고 임헌회(任憲晦) 문하에서 20년간 학문을 닦아 윤치중(尹致中) ·서정순(徐廷淳)과 함께 그의 제자가 되었다. 노론파(老論派) 학자들의 학통(學統)을 이어, 이이(李珥)와 송시열(宋時烈)의 사상을 신봉하고 특히 이이의 학설을 옹호하였으나 주리(主理) ·주기(主氣)의 양설을 모두 배척, 절충적 이론을 세웠다. 1882년(고종19)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선공감감역이 되고 그 후 강원도 도사(都事) ·장령 ·순흥(順興)부사 ·중추원참의 등에 보직되었다. 저서에 《간재집》이 있다.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선공감감역·전설사별제(典設司別提)·강원도도사, 1894년 사헌부장령, 이듬해 순흥부사·중추원찬의(中樞院贊議)를 제수받았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그의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1895년 박영효(朴泳孝) 등이 수구(守舊) 학자의 우두머리로 지목하여 개화를 실현시키려면 그를 죽여야 한다고 여러 번 청했으나 고종의 승낙을 얻지 못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