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

 1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1
 2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2
 3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3
 4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4
 5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5
 6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6
 7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7
 8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8
 9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9
 10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10
 11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11
 12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_봄봄_ -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대소설교육론
김유정의 봄봄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
Ⅰ. 국어교육에서의 봄·봄
1.1. 교재 구현 양상 ― 7차 고등학교
1.2. 교육적으로 다뤄지는 봄·봄의 특성
Ⅱ. 문학교육에서의 봄·봄
2.1. 봄·봄의 해학 표현 이해하기
2.2. 문학의 언어로 접근하기
< 차 례 >
국어교육의 장에서 문학(작품)은 수업의 제재로서 분석의 대상인 동시에 이해의 대상이다. 때로는 ‘대상’이 아닌 ‘도구’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그 자체로 ‘목적’이 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의 하위 영역인 ‘문학’ 영역에서 견지해야 할 관점으로 ‘문학적’ 언어관을 제시하고, 김유정의 봄·봄을 대상으로 문학을 통한 언어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김유정의 봄·봄 1935년 12월 『조광(朝光)』에 발표되었다. 이후 1938년 간행된 『현대조선문학전집 2』에 김유정의 대표작으로 실려 있고, 같은 해 간행된 단편집 『동백꽃』에도 수록되었다. 김유정 문학세계의 본령인 해학 내지는 해학적 인간인식이 가장 구체화되어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6981 참고)
이 실린 교과서(7차 고등학교 ‘국어(상)’)를 분석하여 해당 작품이 학습 제재로서 어떻게 구현(교재화)되었는지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다뤄지고 있는 봄·봄의 특성을 기존 논의와 함께 정리해 보고자 한다. 개괄적으로나마 작품의 특성을 먼저 살피지 않고 곧바로 교과서에 학습 제재로 구현된 양상을 분석하는 이유는 분석 대상 교과서가 이 아닌 이기 때문이다. ‘국어’는 ‘문학’뿐만 아니라 국어과 여타의 영역을 종합적으로 교수-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제재를 살핌으로써 오히려 보다 ‘문학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먼저 1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에 실린 봄·봄을 분석하여 주로 작품의 어떤 특성에 주목하여 다루고 있는지 살피고, 그 특성들을 중심으로 기존 논의를 정리한다. 2장에서는 봄·봄을 국어 교과서가 아닌, 문학 교과서에서 제재로 다룰 경우를 고려하여 작품의 특성과 가치를 살릴 수 있는 문학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Ⅰ. 국어교육에서의 봄·봄
1.1. 교재 구현 양상 ― 7차 고등학교
차례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⑴ 봄·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