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

 1  인문어학 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1
 2  인문어학 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2
 3  인문어학 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
오늘날 기술의 발전은 현대사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등장시키고 있다. 딱딱하고 지루한 문자보다는 좀 더 역동적이고 흥미를 끄는 영상언어로 소비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사회는 영상시대라는 새로운 환경을 맞닥뜨리고 있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맞게 영상콘텐츠의 대표격인 영화도 시대에 맞춰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영상이 입체감 있게 보이는 3D 등장 후 얼마안가 입체감은 물론이고 영화 속에서 나는 향과 촉감을 느낄 수 있는 4D가 등장했다. 지극히 상업적이다. 반면 시대 흐름을 따르지 않고 오직 자신만의 개성대로 감독의 입맛에 맞게 꺼내놓는 사람들도 있다. 이 사람들은 영화적인 컨벤션을 거부하고 감독의 개성과 독창성을 중시하여 영화를 제작한다. 우리는 이 두 부류를 각각 상업영화(장르영화)와 작가주의 영화라고 부른다.
작가주의라는 용어는 1954년 프랑스의 영화감독이자 이론가인 프랑수아 트뤼포가 영화비평 전문잡지인『마이에 뒤 시네마』에 연구이론을 발표하면서 사용되었다. 그는 문학적인 고전에 의지하는 작품들을 시나리오 작가의 영화라고 공격했고, 독창성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반면에 르누아르나 브레송, 타티, 오퓔스 같이 직접 시나리오를 썼던 감독들은 진정한 작가라고 지적했다. 알렉산드 아스트뤽의카메라 만년필이라는 꿈을 성취했다는 점 때문이었다. 그 이후 1960년대 미국의 비평가인 앤드루 사리스가 영화비평과 영화사 방법론으로서 그가작가이론이라고 불렀던 것을 공표하면서 국제적인 비평 용어로 널리 사용되기 이르렀다. 신강호,『영화 작가 연구』, 월인. pp.3~4.
작가주의의 작가는 시나리오 작가가 아닌 영화감독을 가리킨다. 이 분야의 영화는 비장르 영화, 작가예술 영화의 성격을 갖는다. 여기서 우리는 작가주의 영화의 특징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독자적인 견해와 방식을 창출함으로써 관습을 변형하거나 장르를 생성한다. 둘째, 영화가 제기하는 문제들을 단순명쾌하게 해결하지 못한다. 셋째, 감독은 스튜디오의 조건을 지배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775&mobile&categoryId=272.
이 같은 작가영화의 특징은 낯익은 관습보다는 실험정신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비대중적인 경우가 많다.
반면 상업영화, 즉 장르영화는 사회의 매스미디어들과 결합하여 인간행동이나 문화구조의 심층부까지 침투한다. 이 경우 자본의 논리가 영화 속에 녹아들어 많은 이윤을 추구하기도 한다. 또한 작가의 개성보다는 유형화된 내용과 형식을 갖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 대중으로부터 사랑받는 영화가 나오면 비슷한 영화를 반복적으로 만들게 되는데, 이처럼유사한 구조의 영화들이 집단으로 분류되어 하나의 장르를 탄생시키는 것이다. 이런 부류의 영화는 1930년대 할리우드 시스템이 자리 잡을 무렵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할리우드 영화들이 철저하게 기승전결에 따라 제작된 규격품이 많은 반면에, 유럽 영화들은 그러한 규격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 장일.『시네마 그라피티: 대중문화와 영화비평』, 지식의 날개. pp.42~43.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어떤 비평가들은 할리우드 영화와 유럽영화를 장르영화와 작가주의 영화라는 시각으로 나누기도 한다.
앞서 말했듯이 사회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에 상응하여 소비시장도 바뀐다. 지금 세계는 문화를 새로운 수출품목으로 넣고 있다. 중요한 것은 시대나 집단에 따라 문화에 관한 정의가 달라지고 받아들이는 방식 역시 다르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이야기하는 영화 역시 하나의 문화이다. 그리고 우리도 이제 한국영화, 즉 한국 문화를 수출목록에 올려놓고잘판매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세계인들의 입맛에 맞게―한국의 문화를 판매하려면 우리 영화계는 어떤 노선을 따라야할까?
앞서 이야기한 문화에 관해 좀 더 이야기하고자 한다. 문화는 한마디로 말하면 뛰어난 것 또는 교양의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정의는 문화를 물질적 생산과 분배를 둘러싼 사회관계와 분리시켜 사고하는 관념이다. 즉, 문화의 정신적인 영역을 강조함으로써 문화를 정치, 경제, 사회와 동떨어진 순수한 것으로 보려는 태도인 것이다. Ibid. p.7.
그러나 문화는 오랫동안 인간의 진화와 함께 해왔다. 그리고 그 시대의 사회상과 분위기를 반영한다. 그 특성 때문에 문화는 인간의 속물성이나 어두운 부분과 분리되어 혼자 고결하게 존재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정치와 경제, 사회와 동떨어질 수 없다. 결국 문화는 사회와 동떨어진 순수성을 지니는 동시에 인간의 어두운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성을 가져야한다. 이것은 영화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