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입문 6 25 전쟁

 1  국사 입문 6 25 전쟁-1
 2  국사 입문 6 25 전쟁-2
 3  국사 입문 6 25 전쟁-3
 4  국사 입문 6 25 전쟁-4
 5  국사 입문 6 25 전쟁-5
 6  국사 입문 6 25 전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사 입문 6 25 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사입문
625 전쟁
목차
Prologue
Ⅰ. 미소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
Ⅱ. 625 전쟁과 발생과 남북의 군사력
Ⅲ. 유엔(UN)의 조치와 전쟁의 경과
Ⅳ. 625 전쟁의 휴전회담
Ⅴ. 625 전쟁의 결과
Epilogue
Prologue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됨에 따라 한국은 일본의 불법적인 점령으로부터 해방되었다. 그러나 카이로회담에서 나라의 독립이 약속은 되어 있었으나,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하여 남과 북에 미소 양군이 분할 진주함으로써 국토의 분단이라는 비참한 운명에 놓이게 되었다. 미소 양군의 한반도 진주 목적은 일본군의 무장해제 등 전후처리에 있었다. 유엔은 1947년 제2차 총회에서 통일된 한국정부수립을 위한 총선거를 1948년 5월 31일 이전에 한반도 전역에서 실시하기로 결의하고, 선거감시를 위한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유엔이 결의한 전국적 범위에서의 총선거는 1948년 1월 소련 군정당국이 이의 수락을 거부하고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북한지역 출입을 막음으로써 좌절되었다. 1948년 2월 26일 유엔 소총회는 유엔의 감시가 가능한 지역에서의 선거 실시를 결의하였다. 이에 따라, 1948년 5월 10일 38도선 이남지역에서 유엔 감시하의 자유 총선거가 실시되어 제헌국회가 구성되었으며, 1948년 8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건국이 세계만방에 선포되었다. 소련군의 비호 아래 북한지역을 장악한 김일성 등 공산주의자들은 1948년 9월 9일 북한지역에 독자적 공산정권인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선포하고 소련을 비롯한 공산 제국의 승인을 얻어냈다. 그러나 1948년 12월 12일 제3차 유엔총회는 대한민국정부만이 한반도에 존재하는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결의함으로써 한반도의 유일 합법정부로서 대한민국의 법통을 확인하였다.
Ⅰ. 미소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
ⅰ.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
마샬 미 국무장관은 트루먼 대통령 및 다른 각료들과 극동정세를 토론한 결과 중국 및 한국의 상황에 대해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1947년 7월 조사단을 대통령의 특사의 권한으로 중국과 한국을 방문하게 하고 그 해 9월 19일 조사단은 ‘미군과 소련의 병력은 거의 같으나, 소련군 방식으로 무장된 북한 인민군은 미국이 조직한 남한 경비대보다 무장이 우세하며, 소련이 그의 점령군을 북한에서 철수시키고 남한으로부터 미군 철수를 강요할 가능성이 짙으니 인민군은 남한에 대하여 잠재적 위협이 되고 있다. 현 소련이 만든 북한의 괴뢰정권과 군대는 소련의 목적을 실행하는 데 신뢰할 만큼 훈련되어져 있다. 그렇기에 한국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안전보장 조치를 지원하는 데 충분한 군사원조를 공급하여야 한다.’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되었으나, 행정부는 그 보고서를 묵살 및 공표금지를 하였다. 그것은 미 행정부가 취하고자 하는 정책과 상반되었기 때문이다. 1947년 9월 25일 미 합동참모본부는 한국은 군사적 안전의 입장에서 고려할 때 전략적 가치가 없으며 극동지역에서의 적대상태가 야기되었을 때 군사적 부담이 될 것이라 여겨 1949년 500명의 군사고문단을 남겨두고 철수한다. 이런 한국의 소극적인 전략적 평가에 따라 미국은 한국에 대한 적극적인 군사원조를 취하지 않았으며, 맥아더 사령부에서 보내진 공산주의자들의 남침준비에 관한 정보는 워싱턴에서 별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ⅱ. 소련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는 미소의 입장은 달랐으며, 따라서 거기서 오는 군사정책도 서로 달랐다. 미국의 조사단의 보고서의 내용대로 1948년 2월부터 일방적으로 소련군이 철수하기 시작했을 때, 북한에는 국경 경비대 외에 이미 완전 무장한 4개 보병사단이 있었으며 소련의 최신전차로 무장된 제105 기갑부대가 편성되었다. 김일성은 매 주다마 소련의 지시를 받으면서 1950년 6월 모든 군사계획을 작성함에 있어 약 3,000명의 소련군이 참여하였고, 약 15명의 소련군 장교가 보병사단의 참모 고문관을 하였다. 스탈린은 작전지휘 장교로서 가장 훌륭한 인재를 선발하여 인민군 통수부에 파견했다. 이들은 남침을 위한 ‘작전명령’을 러시아어로 작성했을 뿐만 아니라, 전선에까지 파견되었으며, 이들이 서울에 왔을 때는 사복을 입었고, 많은 작전고문들은 신문기자, 보도원, 카메라 맨 등의 면목으로 조치원 방면까지 출동하였다.
Ⅱ. 625 전쟁 발생과 남북의 군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