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

 1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1
 2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2
 3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3
 4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4
 5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5
 6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6
 7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고전 문학사
(향가의 성격과 관련된 보고서)
서론
향가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중기까지의 향찰로 표기된 노래로서 진평왕 때의 에서 고려 광종 때 균여의 에 이르기까지 약 370년 동안 성행하였다. 하지만 현재 남아 전해지는 작품은 [삼국유사]14수, [균여전]11수로 25수뿐이다. 향가에 대한 또 다른 용어로 ‘사뇌가’라는 용어가 있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25수 모두 ‘사뇌가’라고 칭할 수는 없다. 즉, 사뇌가는 향가의 하위 개념으로서 사뇌가를 향가로 부를 수는 있지만 모든 향가를 사뇌가로 대체하여 부를 수 없다는 말이 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몇 가지 용어를 통해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에 대해 정리하고 그 성격을 바탕으로 현재 남아 있는 향가 25수에 적용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본론
향가, 혹은 사뇌가에 대해서는 대체로
"其意甚高",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라는 몇 가지 용어를 근거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들의 뜻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其意甚高(기의심고)’라는 용어는 ‘그 뜻이 매우 높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詞淸句麗(사청구려)’라는 용어는 [균여전] 제 8 에 실린 최행귀의 서문에 있는 것으로 ‘가사가 맑고 시구가 곱다’라고 해석된다. 또한 ‘意精於詞 故云腦(의정어사 고운뇌)’는 [균여전] 제7 에 있는 것으로 ‘뜻이 가사보다 정교한 까닭에 뇌라고 이른다.’라고 해석된다. 이것은 노랫말에 지은이의 생각이 정교하게 표현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을 더 자세히 해석하면 사뇌는 훈차로 그 뜻이 정심해서 소중한 메시지를 담은 노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사뇌란, 노랫말이 맑고 글귀 역시 고우며 노랫말에 담긴 뜻이 매우 깊고 노랫말보다 정교한 노래라는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은 당시 사람들의 정서가 비속하고 음침하거나, 경박한 것보다는 밝고 맑은 정신세계를 지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가에 관해 전하는 "羅人尙鄕歌者尙矣(라인상향가자상의) 蓋詩訟之類歟(개시송지류여)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고왕왕능감동천치귀신자비일)“라는 이 짧은 논평을 통해 우리는 ‘신라 사람들이 일찍부터 향가를 숭상했고, 이것은 대개 시(詩)송(頌) 같은 것이다. 때문에 이따금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라는 해석을 얻을 수 있다.
특히 ‘能感動天地鬼神’에 대해 연구자들의 이해를 달리하는 두 가지 견해가 있는데, 첫째는 이것이 향가의 주술성을 의미하거나 초 자연력을 의미한다는 것으로, 향가의 성격을 종교제의적 성격이 강한 노래라고 주장하는 견해이다. 이와는 상반된 견해로서 두 번째 견해는 ‘能感動天地鬼神’의 힘이 주술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적 감동’에 있는 것으로 보고 주술적으로만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能感動天地鬼神’라는 구절을 어떻게 보든 간에 이 구절을 통해서 신라 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했고 또한 노래에 담긴 사상과 힘을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리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