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

 1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1
 2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2
 3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3
 4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4
 5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5
 6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6
 7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7
 8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8
 9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9
 10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와 민족주의 에 대하여 언어 민족주의 근대 이전 언어 민족주의 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언어와 민족주의’에 대하여.
-목차-
1. ‘언어 민족주의’의 개념
2.근대 이전의 언어 민족주의
3.식민지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
4.현대 사회의 언어 민족주의
(1)세계화 시대 속에서 위협받는 민족 언어
ㄱ.국제어의 대두- 국제어의 자리를 차지한 영어의 득세
ㄴ.영어 공용어화
(2)언어 민족주의의 현대적 모습들
ㄱ.아랍어 대 베르베르어
ㄴ.세네갈의 ‘언어 내셔널리즘’
ㄷ.유대인들의 히브리어 복원
ㄹ.우리나라의 언어 순화 정책
5.언어 민족주의의 올바른 발전 방향
1.‘언어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언어 민족주의란 언어로써 어떤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운명공동체의 범주를 설정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홈볼트(Karl Wilhelm von Humboldt, 1767-1835)의 견해는 이러한 점을 잘 드러낸다.
언어의 발생은 인간의 내적 요구이며 자연적으로 갖추어진 능력의 발현이다. 인간의 실제 회화의 산물인 언어는 정신과 자연의 영원한 매개자(媒介者)로서 특정한 국민의 정신이 구체적으로 발현(發顯)된 것, 즉 세계관(世界觀)을 나타내는 내면 형식을 외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언어는 개인에 대해서 하나의 도구(道具)로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행위(에네르게이아, energeia)이며, 그것은 사고를 분절(分節)된 음으로써 표현하는 바 영원히 반복되는 정신 활동이다. 인간의 본성에는 언어를 창조하는 힘과, 언어 형식이 있으며, 세계의 언어가 다양한 것은 이 내부 형식을 외적 형식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2. 근대 이전의 언어 민족주의
고려 태조의 ‘훈요십조’ 가운데 “글안국의 풍속과 언어가 상이하니 각종 제도를 본받지 말라.”라는 4조에서 언어 민족주의 정신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이 중국과는 다른 우리의 말과 글자 체계를 바로 잡고자 하는 점임을 볼 때, 훈민정음의 창제는 언어민족주의의 결실이며 조선왕조의 긍지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근대 이전에도 항상 민족 언어가 보호됐던 건 아니다. 8세기 중엽 경덕왕은 순수 우리말 지명을 모두 한자로 바꿨다. 예를 들어 마을 이름이 ‘새바위’였다면 ‘조암(鳥岩)’으로 변경한 것이다. 통일 이래 제대로 정비되지 못한 행정구역을 명확히 규정하고자 하는 의지로도 보인다. 그렇지만 759년에 중앙 관명을 모두 중국식으로 바꾼 점, 통치체제를 중국식 유교 법치주의로 강화한 점, 당나라와의 친분을 강화하려 했던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신라가 강대국인 당나라를 의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수 우리말 지명을 모두 한자로 바꾼 정책도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현재 미국이 세계 국가들 중 강대국이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 안에서도 영어 열풍이 부는 오늘날의 현실과 그리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3. 제국주의 시대의 언어 민족주의(민족 독립의 힘은 바로 고유어)
(1) 식민지 시대에 조선어는 민족문화운동의 키워드였다. 독립운동이라는 위험한 정치운동에 직접 투신할 수 없었던 지식인 및 부르주아들은 우리말 운동에서 출구를 찾았다. 우리말 운동은 독립을 직접적으로 내세우지 않으면서도 우리 민족의 자존심을 지키고 실력을 키운다는 대의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말 사전의 편찬은 우리말 운동의 정점에 위치했다. 조선에서 조선어가 이류 언어 취급을 받고, 자라나는 세대는 일본어로 감수성을 키워가는 상황에서 우리말 사전을 만드는 일은 정신적, 문화적 독립운동으로 취급됐다.
사전 편찬은 그야말로 온 조선의 관심사였다. 신문들은 사전 편찬의 전 과정을 일일이 보도했고, 전국의 방언 수집에는 수많은 학생 자원봉사자들이 참가했다. 표준말이나 철자법 제정 등의 문제들은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해 수년에 걸쳐 독회를 가진 후 결정했다. 이념 대립이 극심했던 그 시기에 우리말 사전 편찬 사업은 전 민족적 지지를 획득한 거의 유일한 사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