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

 1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1
 2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2
 3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3
 4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4
 5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5
 6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6
 7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통사의미연구] 국어의 시제변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중세국어의 시제
3. 근대국어의 시제
4. 현대국어의 시제
5.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제는 중요한 문법 범주의 하나로서 모든 문법서에는 반드시 시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국어에 있어서도 수십 종의 문법서에 시제가 다루어져 있는 외에, 시제에 관한 논문이 여러 편 나와 있다. 그러나 국어의 시제에 관한 처리는 아직도 미진한 편이다.(남기심,1996:359)
우선 시제란 화자가 발화하는 시점을 중심으로 사건의 전후 시간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를 말한다. 시제에는 발화의 시점과 그 문장 안에서 기술된 사건, 행위, 일의 상태와 시간과를 관계지어 주는 “움직임이나 상태가 시간의 흐름 가운데서 일어나는 점”을 나타내는 좁은 의미의 시제가 있고. 또 넓은 뜻의 시제 안에는 어떤 동작이나 사건 속에 시간적 폭이 어떻게 펼쳐져 있는가, 즉 “움직임의 모습의 범주”를 나타내는 상과 “표현 내용에 대한 말할이의 태도”라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보이는 법의 범주가 있다.(허웅,1981:260)
문장에서의 시간은 시제라는 문법 기능을 통하여 실현된다. 시간은 흐르는 물처럼 유동적인 것이어서 객관적으로 나누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물체를 나누듯 시간을 토막내어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 그 구분은 언어 사회나 학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전통적 시제 관점은 과거, 현재, 미래의 3분법이었으나, 과거와 현재, 혹은 과거와 비과거의 2분법이 제기되기도 하며, 심지어 국어에는 시제가 없다라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고영근․남기심(1993),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남기심(1996), 『국어 문법의 탐구1』, 태학사.
정영숙(1986), 「현대 국어와 15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의 비교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최동주(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연구1』, 국립국어연구원.
허 웅(1981), 『언어학』, 샘문화사.
홍종선(1997), 『국어의 시대별 변천연구2』, 국립국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