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죽거리 잔혹사 영화 분석

 1  말죽거리 잔혹사 영화 분석-1
 2  말죽거리 잔혹사 영화 분석-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말죽거리 잔혹사 영화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화 분석
영화 에서 나타나는 학교의 모습은 현재 우리가 지향하는 학교와 동떨어져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영화 속 학교는 Bernstein의 학교조직 유형에 따르면 도구적 질서와 표현적 질서 모두 ‘닫힌 학교’로 분류할 수 있다. 내용이나 지식을 강조하고 교과 간 경계가 강하게 나타나고 교육과정이 능력별로 층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교직원들의 통제 및 영향력 하에서 광범위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의견이 교직원들에게 반영되는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영화 속에 나타난 수업 시간에서 각 교과간의 강한 분류화를 엿볼 수 있었고, 교사-학생간의 프레이밍이 높아 일방적 교수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협력학습이 이뤄지지 않아 학생과 학생 간에도 강한 분류화가 나타난다. 함재복(햄버거)이 ‘전교 꼴지’라는 대화내용이 나오는 것으로 봐서, 평가 방식에 있어서 분류화가 강한 코드인 석차산출제도가 시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라는 곳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폭력이 일상화되어있는 모습이 충격적이다. 학생들은 서로에게 주먹을 휘두르고 그를 발견한 교사는 학생에게 폭력을 휘두른다. 폭력이 잘못되었다고 폭력으로써 가르치는 것과 같다. 현수가 전학 온 첫날 등교하는 모습에는 정문으로 승용차 한 대가 들어오자 모두들 하던 일을 멈추고 경례하는 모습이 나온다. 교련 선생님은 불시에 가방 검사를 진행하고 학생들을 체벌한다. 가르치고 배우는 공간이라고 느껴지기 보다는 권력 있는 자가 명령하고 약한 자가 복종하는 공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교사들은 권위 있는 학부모를 둔 학생을 지나치게 챙겨주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울 수 있는 잠재적 교육과정은 권위와 복종이 아니었을까. 우식이를 비롯한 여러 학생들이 싸움으로 그 반의 권력을 가지려는 모습은 전혀 이상할 게 아니었다. 그들은 학교에서 배웠을 뿐이다.
이전 학교에서 ‘전념’의 유형이었을 거라 예상되는 현수는 전학 온 뒤 친구들의 영향을 받아 아버지의 기대에 어긋나는 품행을 보이기 시작한다. Bernstein은 “머리 좋은 노동계급 학생들 중에 어떤 학생이 공부는 잘 하지만 또래 집단의 하위문화에 영향을 받아 기대에 어긋나는 품행을 보인다면 분리 유형에 속한다”고 했다. 현수는 ‘분리’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국 극 후반부에 현수는 학교를 떠나 검정고시를 준비한다. 우식이가 학교를 떠나고 현수가 학교를 떠나고 재복이(햄버거) 역시 학교를 떠나지만 이 ‘소외’된 학생들에게 영화 속 교사는 단 한 번도 진심어린 말을 건네지 않는다. 현수가 변해왔던 것처럼 학생들의 참여 유형은 학교에 따라서 또는 교사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교사는 그들이 싸우는 이유에 대해서도 전혀 궁금해 하지 않았다.
학교를 떠나 검정고시 학원에서 만난 재복이와 현수의 모습은 학교에서 보였던 모습보다 더 편해보였다. 그들에게 필요했던 교사와 학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 나오는 학교 풍경은 번스타인의 모든 개념에서 강한 프레임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도 분과중심 교육과정 이였으며 수업에서는 학생에 대한 교사의 통제가 강하였고 주로 교사가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수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학생과 학생의 관계에서도 수업에서 상호간의 대화와 의사소통은 거의 없으며 수업 중에 모든 학생은 교사와 1대1관계를 맺고 있다. 평가에서도 성적순으로 심화반과 기초반으로 나누어 분류를 하는 강한 분류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은연중에 학습되어지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볼 수가 있는데 학교에서 일어나는 폭력으로 인해 학생들은 폭력을 권위로 생각하게 되고 그것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은연중에 습득을 하게 된다. 또한 폭력을 당하고도 말하지 못하는 것도 잠재적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볼 수 있다.
특이한 점은 말죽거리 잔혹사에 나오는 풍경이 1970년대의 유신체제의 특징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과 다르게 교문에서부터 군인들이 함께 단속을 하고 있었으며 학부모가 누구인지에 따라 선생님들이 학생을 대하는 태도도 다르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영화에 등장하는 현수는 처음엔 번스타인의 학생 역할 참여 유형중 전념의 유형을 보이고 있지만 학교체제에 불만을 가지게 되면서 점점 소외의 유형으로 변하게 된다. 은주의 경우는 전념의 유형으로 보이다가 결국 분리의 유형을 보이고 있다. 겉으로는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처럼 보이지만 사실 기대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주요 인물들은 대부분 소외의 유형을 보였다. 결국 현수는 학교에 불만을 가지고 학교를 그만두게 되었다. 또한 교사의 언어는 학생들에게 비언어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아이들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는 장면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만큼 예전의 학교라는 곳이 권위적이고 폭력성이 짙었다는 것을 영화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