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SBS 스페셜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중심으로)

 1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SBS 스페셜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중심으로)-1
 2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SBS 스페셜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중심으로)-2
 3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SBS 스페셜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중심으로)-3
 4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SBS 스페셜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중심으로)-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SBS 스페셜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
SBS 스페셜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오늘날 "대중문화"라는 용어는 수준 낮은 평범한 대중의 문화, 다수의 대중이 선호하는 문화, 문화를 표방하면서도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대중 기만적 문화산업 등 다양한 뜻으로 통용된다. 또한 대중문화는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서 매개된다는 의미에서 매스미디어(신문, 텔레비전,·컴퓨터, 라디오,·영화,·잡지 등)에 의해 매개되는 문화라고도 하고, 문화적 현상형태 이면의 사상적 조류를 지칭할 때는 "포스트모던 문화"라고도 한다. 전경갑, 오창호 지음, 『문화적 인간 인간적 문화』, 서울 : 푸른사상, 2003, 311.
특히 영화, 텔레비전, 컴퓨터의 등장과 발전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자체의 특성이 포스트모던 의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문균,『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신학』,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0, 66.
이 가운데 포스트모던 의식을 반영하는 매개체로서 "텔레비전"만큼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없을 것이다. 텔레비전은 생방송을 통해서 대중에게 직접 다가가고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동시에 시청자들에게 보여준다. 그래서 대중들은 텔레비전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자신들에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어떤 편집과 해석의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텔레비전에 나온 뉴스나 시사적인 것은 중요하고 텔레비전에 나오지 않은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처럼 텔레비전은 현대인이 사고하는 가치관이나 사상, 그리고 삶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
이처럼 포스트모던한 현대사회에서 매스미디어, 특히 텔레비전의 영향이 커지는 만큼, 텔레비전을 통해 전달되는 많은 정보들의 사료적 가치 또한 조명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미래의 사회는 분명 단순히 문서만을 통한 사료 전승뿐만 아니라 매스미디어의 이미지와 리얼리즘에 기초한 영상자료들도 사료로서 그 가치가 충분히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제에서는 매스미디어의 매개체 가운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텔레비전의 다양한 장르들 가운데 "다큐멘터리"의 사료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로서 지난 2008년에 방영되어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종교다큐 "신의 길 인간의 길"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2. 텔레비전 "다큐멘터리(Documentary)"의 사료적 가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는 사실 기록(document)과 이야기(story) 양식의 접목을 통해 현실의 다양한 모습들을 영상으로 재현한 텔레비전의 매우 중요한 형식이다. 다큐멘터리는 그 장르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역사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다큐멘터리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은, 다양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로 연결되는 역사적 현실을 구체화된 이미지로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미지 영상은 기존 신문과 같은 매체의 문서 정보보다 훨씬 그 역사적 기억 복원의 효과가 크다. 이처럼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는 당시의 역사를 보는 시선, 현실을 재현하는 틀, 그리고 사태를 지각하는 시대적 감수성 등을 알아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통찰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복잡한 시공간적 현실에 보다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 즉 다큐멘터리 분석을 통해 역사적 삶 자체와 이를 바라보는 당시 민중의 공통감각과 인식지평, 담화방식 등을 읽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거꾸로 다큐멘터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그 맥락으로서의 사회, 역사적 조건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함을 뜻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연구는 곧 역사분석, 현실 문화연구, 사회 커뮤니케이션 조사로서의 다각적인 가치를 지니게 된다. 김균, 전규찬 지음,『다큐멘터리와 역사. 한국 TV 다큐멘터리의 형성』, 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3, 13-15.
다큐멘터리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사실"과 "재구성"의 문제이다. 이것은 다큐멘터리가 픽션을 포함한 다른 영상예술과는 달리 그것이 "실제세계(reality)"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동시에 "재구성"을 통해 실제세계와는 구별될 수 있는 괴리감(허구, 조작)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장승희, "영상을 통해 바라보는 진실과 허구의 간극. , , 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200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