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사 독서보고서

 1  서평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사 독서보고서-1
 2  서평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사 독서보고서-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평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사 독서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사 독서보고서
책을 읽기 시작부터 다 읽기까지 에큐메니칼에 대한 부분과 아시아 토착화에 대한 문제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책에서도 나와 있듯이 기독교의 기원은 아시아적이지만 지금의 아시아 기독교는 제국주적인 유럽의 기독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기독교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한국적 기독교가 있고, 그러한 형식과 예배가 있다면 무엇인지 고민하고 더 나아가서 에큐메니컬의 중요성과 역사적 흐름을 보면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필요성을 다시 되새기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 한국 기독교가 질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할지 생각했고, ‘민족주의’와 아시아 기독교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아시아의 토착적인 기독교와 교회를 위해서 어떤 해결책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였다.
민족주의는 한국 근현대사 이해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한국을 근대 민족과 국가로 재건하고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이데올로기가 바로 민족주의이기 때문이다. 특히 민족주의는 일제의 한국 식민통치시기를 전후로 등장하여 민족 개념과 민족의식을 형성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보존함으로써 일제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거나 혹은 점진적으로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여 민족의 재건과 독립을 추구하도록 자극하였다. 지금도 여전히 민족주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민족주의는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반발로 나타났다. 아시아의 기독교 역시 이 민족주의와 연결될 수 있다. 종종 기독교는 서양문명과 동일시되었고, 문명개화를 추구하는 기독교를 통해 서양문명을 흡수하여 사회를 근대화하고 근대 민족국가를 성립하였다. 한국 민족주의 형성기에 있어서 근대화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문명개화 담론은 서양의 문명을 받아들여서 외세의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인 근대국가를 성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시기에 기독교는 서양문명을 받아들이는 통로 더 나아가 서양 문명의 기반과 근거로 인식되었고, 그리하여 기독교는 기독교 문명과 종종 동일시되었다.
미국 선교사들 역시 기독교와 서양 문명은 불가분의 관계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외부적 요인으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이후에 기독교가 민족주의와 더욱 밀접하게 연결된 측면이 있다. 일본이 한반도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게 되면서 일본의 급성장 이면에 있는 서양식 근대화에 대한 동경과 한국에서 서양식 근대화의 강력한 요구를 채울 수 있는 기독교, 특히 미국 선교사들에 대한 기대, 그리고 교회가 줄 수 있다고 믿었던 안정과 보호에 대한 욕구가 한국 기독교를 발전시켰다. 그리고 기독교 민족주의는 일본의 한국 강점 이후 교회는 일제 통치 식민지 한국에서 억압받고 고통당하는 한국인들을 위로하고,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의 소망을 가르치며 용기를 주었다. 이 시기는 민족주의가 기독교와 새로운 형태로 연결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일본의 식민 지배가 정치적 현실이 된 상황에서 교회는 직접적인 항일 민족운동과 연결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선교사들과 교회 지도자들은 한국 교회가 정치적 이유와 목적을 가지고 지나치게 민족주의화 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면서, 정치의 현실에서 눈을 돌려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에 집중하는 순수한 종교적 기관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힘을 기울였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정교분리의 입장을 견지하였고 대개 일본의 식민통치가 한국 근대화와 한국에서 기독교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었다.
이 시기에 선교사들은 교회의 정화와 성령의 임재를 통한 부흥을 열망하였고 1907년 대부흥 운동은 정점을 이루었다. 이 시기를 거치면서 기독교는 정치가 아닌 신앙을 통해 민족과 연결되는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의 독특한 구조가 만들어 지게 되었다. 그리고 1920년부터 1930년대 초반에 이르기 까지 기독교가 문화 민족주의 운동과 연결되어 식민지 한국사회 전반에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기독교적 가치와 도덕 , 그리고 기독교 문화를 통화여 사회를 개조하여 민족을 재건하고자 하였던 일제 시기 기독교 민족주의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