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 과학과 제도

 1  [과학사] 과학과 제도-1
 2  [과학사] 과학과 제도-2
 3  [과학사] 과학과 제도-3
 4  [과학사] 과학과 제도-4
 5  [과학사] 과학과 제도-5
 6  [과학사] 과학과 제도-6
 7  [과학사] 과학과 제도-7
 8  [과학사] 과학과 제도-8
 9  [과학사] 과학과 제도-9
 10  [과학사] 과학과 제도-10
 11  [과학사] 과학과 제도-11
 12  [과학사] 과학과 제도-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과학사] 과학과 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 중세 대학에서의 과학의 위상
2. 근대 과학 단체들에서의 과학 활동의 의미
3. 현대 과학과 제도
맺음말 : 과학의 제도적 성격

본문내용
초기의 대표적인 대학 가운데에서 볼로냐 대학은 법학과 의학이 유명했고, 파리 대학과 옥스퍼드 대학에서는 철학 및 과학 분야에서 명성이 높았다. 중세 대학에는 신학, 법학, 의학 등 3개의 전공 학부가 있었고, 교양 과목으로 가르치던 교과목으로는 문법, 수사학, 논리학 등의 소위 三學(trivium)과 산수, 기하학, 천문학, 화성학 등의 四科(quadrivium)가 있었다. 즉, 과학은 높은 전공으로 들어가기 전에 이수하는 교양학부(Arts Faculty)에서 다루어졌던 것이다. 과학은 이런 교양 과목을 가르치면서 부수적으로 중세 대학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중세 대학에서 가르친 과학은 당시 교양학부의 교과서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당시의 교재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물리학」,「기상학」,「하늘과 땅에 관해서」등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나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주해서들이 대부분으로 중세대학의 과학의 핵심이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임을 알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현실적이지 않고 사변적인, 말장난 같은 스콜라적인 방식으로 가르쳐졌다. 그 스콜라적 질문들은 아리스토텔레스를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그의 정합성을 판단하고자 제기한 것이 아니라 결국 아리스토텔레스가 맞다는 결론으로 귀결시키기 위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본에 충실하기 위한 질문들이었다.
이러한 스콜라 철학이 주류를 이루었던 상황에서 실험은 그다지 중요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여전히 협동연구의 형태는 나타나지 않았고 개인연구 중심이었다. 그러나 중세 말 베이컨은 자신의 저작 ꡒNew Atlantis"에서 협동연구의 필요성을 주창하였고, 이는 중세 시기까지는 현실화되지 않았으나, 근대적인 연구형태가 나타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