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

 1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1
 2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2
 3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3
 4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4
 5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5
 6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6
 7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7
 8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8
 9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9
 10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10
 11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11
 12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12
 13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민족 개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 목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체제
1.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
2. 사회주의 체제 내 민족주의
Ⅲ. 북한민족주의의 전개와 발전
1. 광복이후~1950년대; 소비에트화 시기의 민족주의
2. 1960년대; 중소 분쟁 이후 의 민족주의
3. 1970년대~냉전의 종식; 주체사상 확립 이후의 민족주의
4. 1990년대; 냉전 이후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민족주의
5. 2000년대; 민족주의의 확대.
Ⅴ.결론
Ⅰ. 들어가는 말
우리가 민족주의라고 배운 것은 주로 1918년 1차 세계 대전 중의 미국 대통령 Thomas Woodrow Wilson(이하 Wilson)의 ‘민족자결주의’일 것이다. Wilson의 민족자결주의는 ‘모든 민족은 독립하거나 더 큰 국가의 일부가 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라고 제창하였다. John Baylis & Steve Smith | 하영선 외 옮김 「세계정치론」(서울: 을유문화사 2006) p.534
그러나 Wilson에게 민족자결주의를 제창할 수 있는 민족이란 ‘서구의 백인’ 이었다. 그 증거는 Wilson의 민족자결주의 제창 이후에도 필리핀, 하와이, 파나마, 쿠바의 식민 지배는 계속되었다. 이처럼 ‘민족주의’ 란 개념은 매우 주관적이며, 때로는 상이한 두 체제를 유지시키기도 한다.
Ernest Gellner는 “민족주의는 정치적인 것과 민족적인 것이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치원칙이다” 라는 간결한 정의를 내렸다. Ernest Gellner 「Nations and Nationalism -New Perspectives on the Past」(U.S.A :Cornell university press) p. 15
이 때 민족은 실제 존재해야 하며 하나의 정치공동체를 이뤄야 한다. 그러나 ‘민족’ 이라는 단어가 오늘날의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일까? 역사를 거슬러 보면 현대의 ‘민족’은 18세기 베스트팔렌 체제의 불간섭원칙 방식을 넘어, 개별적이고 합법적인 ‘민족이익’의 대표가 출발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은 20세기 초 근대국가 형성에 실패하였고 일본의 식민지배로 인하여 한반도에는 ‘저항적’ 민족주의가 싹트게 되었다. 韓민족의 저항적 민족주의는 좌우 이데올로기와 결합하였고 해방 후 한국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남북의 정권은 자신들의 체제를 유지고착화 시키면서 정통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민족주의를 이용하였다. 그로 인하여 한반도의 민족주의는 상대 국가에 대한 적개심이 가득 찬 공격적, 배타적, 분리적 성격으로 발전하였다.
남북한의 민족주의를 비교적 시각에 다룬 연구는 전재호의「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역사의 이용을 중심으로」(서울: 慶南大學校極東問題硏究所 제18권 제1호 통권 제36호, 2002.)와 박호성의「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서울: 당대, 1997) 등이 있다. 이들의 연구는 민족주의를 박정희 정권과 김일성 정권이 역사적 사료를 어떻게 재구성하였는가에 대한 실증적 사례 연구이다. 실증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실과 거리를 좁히는 것은 매우 유용한 연구였다. 그러나 우리는 기초적인 부분부터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첫 번째, 민족주의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 내린 적 없다. 두 번째, 북한의 민족주의에 대한 선행 학습이 되어 있지 않다. 세 번째, 실증적 사례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분석 능력이 없다. 위의 이유들로 우리는 북한의 민족주의로 한정시켜 연구하겠다.
북한의 민족주의와 한반도 통일을 다룬 연구는 김갑식의 「북한 민족주의의 전개와 발전: 민족공조론을 중심으로」(통일문제연구 18/1. 2006), 조정아의「남북한 민족주의에 관한 고찰과 통일시대이념의 방향성모색」(한국교원대 대학원. 2002) 등이 있다. 두 연구는 북한의 민족주의가 미래 한반도 통일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도 중점을 두고 있다. 우리에게 미래 통일 한반도의 청사진을 그리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의 정보 접근이 제한이 되어 한반도 통일의 원칙적 이론적 기초적 접근가능하나 실천론적 접근은 불가능 하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첫째, 북한 민족주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타 사회주의 체제 내에서 ‘민족주의’를 살펴보고 둘째, 북한 민족주의의 기원, 전개, 발전과정을 살펴보겠다.
Ⅱ.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체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