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했던 그들의 희망의 공간 헐하우스 Hull House

 1  절망했던 그들의 희망의 공간 헐하우스 Hull House-1
 2  절망했던 그들의 희망의 공간 헐하우스 Hull House-2
 3  절망했던 그들의 희망의 공간 헐하우스 Hull House-3
 4  절망했던 그들의 희망의 공간 헐하우스 Hull House-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절망했던 그들의 희망의 공간 헐하우스 Hull House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절망했던 그들의 희망의 공간, 헐하우스(Hull-House)
『헐하우스에서 20년』은 미국의 사회 개혁가 ‘제인 애덤스’의 에세이를 엮은 책이다. 제인 애덤스는 제 1차 세계대전, 경제공황 등이 휘몰아쳤던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를 살았던 사회 개혁가로, 북아메리카 최초의 복지기관 헐하우스를 설립했다. 그리고 빈민 구호 활동 뿐 아니라 여성 참정권 운동에도 적극 개입해 정부로부터는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여성’으로, 추종자로부터는 ‘성녀 제인’으로 불리며 미국 공동체 내 권익을 향상시켰다. 노벨 평화상까지 수상했던 제인 애덤스. 그녀는 개인의 변화보다 사회 환경의 변화에 무게를 더 두었던 만큼 빈민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 애썼다.
제인 애덤스가 누구인지 알았다면 그녀가 설립한 헐하우스에 대해 궁금해하지 않을 수가 없다. 나 또한 헐하우스가 무엇인지, 어떤 공간이었으며 어떤 일들을 해왔는지를 알아야지만 책을 제대로 읽고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헐하우스(Hull-House)’에 대하여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889년 애덤스(Addams, J.)에 의해 시카고에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인보관(Settlement House)을 말한다. 토인비 홀(Toynbee Hall)의 영향을 받은 애덤스가 이민자의 생활향상을 위하여 엘렌 스타(Ellen Sta)와 협력하여 부흥시켰다. 노동조합운동, 평화운동, 아동 복지운동과 결부되어 활동한 것에 사회적 의의가 있고 사회사업뿐만 아니라 사회개량의 근대화에 커다란 터전이 되고 있다.」
앞서 정의한대로, 헐하우스는 제인 애덤스에 의해 설립된 대표적인 인보관으로, 노동조합, 평화, 아동 복지 뿐 아니라 여성 참정권에 힘썼다. 이러한 헐하우스에서는 미국에 갓 도착한 빈민 이민자들이 모여 살 수 있도록 했고, 빈민 서비스와 교육을 통해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으며, 조사·연구를 통해 빈곤 실상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것만이 아니라 개인의 변화보다는 사회 환경의 변화에 무게를 더 두었던 만큼, 성인 교육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은 후에 사회복지정책과 관련한 사회복지실천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기초 자료라고 할 수 있는 헐하우스와 제인 애덤스에 대해 알아보고 책을 감상하니 훨씬 수월했다.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임에도 어렵게만 생각되었던 내용들을 좀 더 쉬이 알 수 있었고, 제인 애덤스가 어째서 사회복지에 커다란 한 획을 그었으며 우리는 그녀를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깨닫게 되었다.
그녀가 사회복지에 끼친 영향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실천의 중요성과 조직 활동이 바로 그것이다. 첫 번째로 실천의 중요성. 책에서 제인 애덤스는 ‘도덕이 실제 생활과 어긋난 대상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싸워가야 한다. 우리가 짊어진 가장 무거운 짐은 생각과 실천의 괴리에서 오는 자책감이다.’라고 말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녀는 실천을 중요시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녀는 장애를 가진 몸으로도 실천에 앞섰던 것이다. 그에 비해 당시의 자선사업단체들이 빈민들의 실태를 파악하지 않은 채 애매한 일반론에만 사로잡혀 있었으며, 한 인간이 처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그 사람의 삶 전체를 소상하게 파악하려는 노력은 전무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의 미국은 현재의 미국이란 강대국을 있을 수 있게 한 발걸음을 내딛게 하는 과도기적 시점 이였다. 즉, 개개인을 신경 쓰기엔 힘들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란 얘기다. 그렇기 때문이었을까? 그 시기에는 미국 뿐 만 아니라 모든 산업 발전 국가들에게 있어 힘없는 노동자, 여성, 아동들은 하나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최소한의 복지를 누릴 수 있는 제도적인 부분이 거의 없다시피 했고, 산업 발전을 위해 개인의 희생만을 강요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허나 제인 애덤스는 이를 ‘탁상공론’이라 비판하며 실천 현장 속에서 자신의 몸을 헌신하였다.
책에서 찾아 볼 수 있듯이 애덤스는 미국이 산업발전이라는 명목 아래, 시민들에게 지나친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 것에 불만을 가졌고, 이런 사회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현장의 중심에서 여러 방면으로 노력을 하였다. 그러면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면 결국 입법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여러 단체들과 함께 협력해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아동 노동 폐지와 여성 노동조건의 법제화, 여성 참정권, 청소년 관련 법률 개혁, 노동자 보수문제 등의 큰 성과를 보여주었다. 물론 어떠한 제도적 부분이 마련되고, 보완이 된다 할지라도 사각지대는 존재하며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 할지 모른다. 우리들은 이론과 기술들이 현장에서 적용 되지 않는 괴리 속에서 딜레마에 빠질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의 삶과 문제를 이해하고 도와주려고 노력하며 부족한 제도를 수정·보완해나간다면 좀 더 많은 사람들을 구제 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