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론 - 똘레랑스 [Tolerance], 이야기 사례, 제시 가능한 발문, 지도 방안

 1  초등도덕교육론 - 똘레랑스 [Tolerance], 이야기 사례, 제시 가능한 발문, 지도 방안-1
 2  초등도덕교육론 - 똘레랑스 [Tolerance], 이야기 사례, 제시 가능한 발문, 지도 방안-2
 3  초등도덕교육론 - 똘레랑스 [Tolerance], 이야기 사례, 제시 가능한 발문, 지도 방안-3
 4  초등도덕교육론 - 똘레랑스 [Tolerance], 이야기 사례, 제시 가능한 발문, 지도 방안-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 - 똘레랑스 [Tolerance], 이야기 사례, 제시 가능한 발문, 지도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도덕교육론
초등도덕교육론
※ 좋은 이야기를 찾거나 만들어, 윤리학적 틀에 입각하여 발문과 지도 방안을 제시하라.
똘레랑스 [Tolerance]
■ 똘레랑스 우리말로는 종종 똘레랑스를 관용으로 풀이하기도 하지만 나는 관용보다는 똘레랑스가 좀더 사람과 사람의 다름을 받아들이고 ‘존중’한다는 느낌을 갖고 있는 단어라고 생각해서 외국어지만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다른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의 자유 및 다른 사람의 정치적 종교적 의견의 자유에 대한 존중 (프랑스말 사전, 출처 :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홍세화)
“존중하시오, 그리하여 존중하게 하시오(respectez, et faites respecter).”
베르뜨랑과 논쟁을 벌인 다음 날 그와 마주친 홍세화는 아무 일 없었다는 듯 환하게 웃는 그를 보고 미운 마음을 품는다. 그러나 한편 깨닫는다. 베르뜨랑은 그의 권리를 그저 주장한 것인 데 반해 자신은 그의 주장을 이성적으로 반박한 것이 아니라 그런 주장을 하는 그를 미워했다는 것을.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중)
똘레랑스가 살아있는 사회에서는 이 주장과 저 주장이 싸우고 이 사상과 저 사상이 논쟁하는 데 반해서, 그렇지 못한 사회에서는 사람과 사람이 싸우고 미움과 불신이 싹튼다. 다른 사람의 의견과 주장을 일단 그의 것으로 존중하여 받아들인 후, 논쟁 속에서 설득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나의 잣대에서 벗어난 사람을 용납하지 못한다. 그런 사람들이 많으면 곧 ‘설득하는 사회’가 아닌 ‘강요하는 사회’가 만들어진다.
남이 나와 다른 것을 인정하는 것, 쉬운 일 같지만 실로 어려운 일이다. 내게 잘못을 저지른 친구를 용서하고, 다문화 가정 친구를 나의 새 친구로 받아들이고, 엉뚱한 취미가 있는 친구를 따돌리지 않는 교실 속 소소한 풍경들은 모두 똘레랑스에서 만들어진다.
우리는 설득과 토론 문화가 익숙하지 않다. 한국인, 하면 정부터 떠오를 정도의 이러한 정 많은 사람들이 어째서 ‘aaaabaa’ 속의 ‘b’에게는 한없이 냉정하며 내 의견에 반대하는 친구에게 미움의 감정을 느끼는 것일까. 같음에서 유대감을 느끼고 정을 쌓아가는 한편 모두가 나와 같길 바라는 마음이 너무 큰 것은 아닐까.
이번 학기 수업실습을 나갔을 때의 일이다. 같은 반 교생이 체육 수업을 할 때 운동장에서 아이들의 게임 수업에 함께했는데 문득 세 남자아이들의 불화가 느껴져서 가까이 다가갔다. 두 명이 “너 엄마가 옷 입혀준다며?”, “말 더듬지마.”, “너가 하는 말은 하나도 못 알아듣겠어.” 라며 비웃고 있었고 한 아이가 정말 어눌한 말투로 “너- 너희가, 너희가, 하, 하는 말은, 다 거짓, 거짓말이야.” 라고 항변하고 있었다. 엄마의 과보호 속에서 자란 아이 용한이었다. 공부는 잘 하는데 말이 약간 어눌하고 친구들이 좋아할 만한 취미나 말재주를 갖고 있지 못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유순하고 귀엽다. 단지 다를 뿐인데 괴롭힘을 당하는 게 참을 수 없었다. 그래서 끝내 체육 시간 끝나고 두 아이들을 엄하게 혼냈다. 항상 답이 맞고 틀린 것을 체크하는 데 익숙해진 아이들이 친구를 대함에 있어서도 좋은 아이 / 안 좋은 아이로 양분해서 받아들이게 된 것은 아닐까. 아이들에게 다른 어떤 가치보다도 똘레랑스를 가르치고 싶다.
■ 이야기 사례
소돌이는 토론 수업을 좋아합니다. 소돌이가 주장하는 말을 하면 다른 친구들은 모두 소돌이의 의견이 가장 좋았다고 말하곤 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