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

 1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1
 2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2
 3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3
 4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4
 5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5
 6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6
 7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 개념,특징,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교육의 교수 학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덕의 의미와 덕의 윤리학
1. 덕(德)의 개념
덕(德)은 무엇인가? 덕의 본질을 파악하는 관점으로는 다양한 이론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덕론 중에서 가장 고전적이면서도 현대 덕 윤리학에서 그 이론 구성의 기본 토대로 삼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 입각하여 덕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택휘, 유병열, 2001)
원래 ‘덕은 희랍어 어원상 ‘~다움’을 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어떤 덕을 지녔다고 할 경우 이는 그것을 지닌 존재가 ‘~답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이는 곧 어떤 행위에 있어서 ‘탁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말이 잘 달리려면 달리는 말이 잘 달리되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잘 달려야 한다. 바로 이런 관점에 터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이란 그의 몸에 깊숙하게 배어있는 ‘탁월한 성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즉, 도덕적 덕이란 우리가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어떤 가치 규범이 사람에게 받아들여져서, 그의 생각과 마음과 행동을 움직이는 비교적 고정화된 내적 힘으로 성향 화될 때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덕 윤리학의 특징
덕 윤리학은 외적 행위들의 옳고 그름 혹은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판단보다는 개인의 내적 활동들(특성, 동향, 인격)에 대한 판단이 가장 커다란 도덕적 중요성을 갖는다고 주장하는 윤리학의 한 이론이다 (R. B. Louden : 추병완, 2003).
덕의 윤리학 성격은 윤리학자에 따라 다르게 규정되곤 하나 덕 윤리학의 가장 핵심적인 몇 가지 특징을 추출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첫째, 덕 윤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은 ‘그가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라는 것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어떤 사람들은 의무의 윤리학을 “행위의 도덕”이라고 부르는 것과 대비시켜서, 덕의 윤리학을 “존재의 도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둘째, 덕 윤리학은 윤리학적 이론의 역할을 부정한다. 전형적으로 윤리학적 이론의 목적은 행동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덕 윤리학은 정당화가 도덕생활의 중심적인 문제가 아니며 정당화 방식은 다양한 도덕적 전통들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
마지막으로, 덕의 윤리학은 도덕 생활에 있어서 보편적 원리의 가치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물론 덕의 윤리학은 올바른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좋은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덕의 윤리학에서 말하는 판단이란 보편적 도덕 원리를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상황에서 무엇이 적절한지를 파악하는 일종의 실천적 지혜라고 본다. 즉, 도덕적 귀감들은 단순하게 규칙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넘어선 방식 속에서 개별적인 특정한 상황의 미묘한 차이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건전한 판단기능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Ⅱ.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윤리학의 여러 형태 중에서 도덕교육과 보다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규범 윤리학은 대체로 ‘인간의 도덕적 삶에 필요한 관점과 방향, 원리’등을 밝혀 제시하는 일과 그것을 ‘실천해 나가는 사람이 지니고 있어야 할 능력과 자질’이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일을 주된 과제로 한다. 그런데 이 때 전자에 중점을 두는 입장을 의무 윤리(Deontological Ethics)라고 하며, 후자를 중시하는 입장을 덕 윤리(Virtue Ethics)라고 한다(W. K. Frankena, 1973; 이택휘, 유병열,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