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

 1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1
 2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2
 3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3
 4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4
 5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5
 6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6
 7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7
 8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8
 9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9
 10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10
 11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칸트이론 요약 및 사례, 도덕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EPORT

칸트이론 요약
도덕(윤리, 철학 등)을 배우면서 자주 접하게 되는 개념인‘정의’와 ‘선’. 그런데 무엇이 정의며 무엇이 선인가? 왜 인간은 선하게, 정의롭게 살아야하는가? 여기에 대한 대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행동의 결과가 많은 사람을 만족시켜주는 좋은 결과를 가져올 때 그 행동은 선이라는 즉, 한 행동의 선함 여부가 그 행동의 결과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 선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는 선하게 사는 것이 결국 자신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해를 ‘목적론적 윤리설’이라고 부르고 이 윤리설의 대표적인 주장이 공리주의이다.
또 다른 하나는 한 행동의 옳고 그름은 그 행동의 결과에 관계없이 일정한 규칙을 지켰는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사람이 선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는 그 행동의 결과가 가져올 이익이나 손해에 관계없이 그렇게 사는 것이 옳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해를 ‘의무론적 윤리설’이라고 부른다. 이 의무론적 윤리설의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칸트이다. 칸트의 도덕은 내면의 동기까지 선해야 하며 그래서 그를 동기론자 또는 의무론자라고 부르며 그의 윤리학을 심정(心情)의 윤리학이자 마음씨 윤리학이라 한다. 그렇다면 칸트의 도덕사상의 중심 개념인 ‘선의지와 의무’, ‘자유’, ‘도덕법칙으로서의 정언명법’에 대해 살펴보자.

“이 세계에서 또는 도대체 이 세계 밖에서까지라도 아무런 제한 없이 선하다고 생각될 수 있을 것은 오로지 선의지뿐이다.”
칸트는 선의지를 행위의 결과를 고려함이 없이 단지 ‘옳다’는 이유에서 택하는 의지라고 말한다. 이것은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는 마음이나 자연적인 경향을 따라서 옳은 행동으로 쏠리는 의지가 아니라 단순히 어떤 행위가 ‘옳다’는 바로 그 이유로 말미암아 그 행위를 선택하는 의지를 말한다. 얼핏 듣기엔 그렇다면 ‘여기에서 ‘옳다’는 말은 사람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주관적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칸트는 이런 의문에 옳음 자체와 선함 자체는 경험에서 얻을 수 없고, 순수한 이성적 존재자만이 실천에 앞서 가질 수 있는 순수 실천 이성에서 찾을 수 있다고 규정하여 답한다. 더불어 이성적 인간은 누구나 선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에서 칸트는 인간의 타고난 성품이 선하다는 ’성선설‘의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안다면 이해가 쉬워진다.) 그런데 ’선한 의지가 있다고 도덕적 선행이 당연히 나올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또 제기된다. 이에 칸트 역시 선한 의지가 자연적으로 발동된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선의지는 도덕적 이념의 실천이 이성적 존재자의 의무라고 납득되는 데서 생긴다고 말하면서 ’의무‘라는 개념을 통해 이 세상에 여전히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이 공존하는 것을 풀어가려고 한다.
그렇다면 여기서‘의무’란 무엇인가? 의무는 ‘모든 인간이 선의지를 가졌는지 여부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를 위해 가장 먼저 설명되는 개념이다. 의무란 행위의 종류나 내용이 아니라 순수한 행위의 동기요 원리인 것이며, 마땅히 해야 할 행위를 하는 것이다. 또한 바로 실천적인 법칙에 대한 순수한 존경심 때문에 선택하는 것이며, 또 그것이 그 자체로 선한 의지가 뒤따라야 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다른 모든 경향성에 우선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무이기 때문에 행하는 행위는 그 행위를 통해 달성하려는 의욕적 결과가 아니라, 오히려 준수하는 준칙에다 자신의 도덕적 가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즉, 의무는 선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오히려 선을 판별해주는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잠깐, 칸트가 나눈 의무의 분류를 집고 넘어가자.
자신에 대한 완전한 의무 : 자신에게 적용되는 예외가 허용되지 않는 의무
예) 자살 - 용납될 수 없고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정당화될 수 없는 행위
타인에 대한 필연적인 의무 : 타인에게 적용되는 예외가 허용되지 않는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