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

 1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1
 2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2
 3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3
 4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4
 5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5
 6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6
 7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7
 8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8
 9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9
 10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10
 11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11
 12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12
 13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길리건,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길리건 & 나딩스가 바라보는 도덕성
배려 윤리
ethic of care
목차
1. 들어가며
2. 배려윤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
1) 도덕교육에 있어 배려윤리적 접근의 의의
2) 길리건의 배려윤리와 배려도덕성 발달론
3)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배려교육론
4) 배려윤리론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3. 배려윤리에 토대를 두고 분석하는 경험사례
4. 배려윤리를 초등교육에 적용해보기
5. 과제를 마치며
1. 들어가며
사실 그 동안은 배려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인간 관계에서 배려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들어보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사람이 아름답다는 생각이 있었을 뿐 그 이상으로는 생각해 보지 않았었다. 그래서 ‘배려 윤리’에 대해 공부해보는 시간이 강의 계획서에 있는 것을 보고 처음에는 의아하게 생각했었던 기억이 난다.
강의 초반부에 배우게 되는 칸트 철학과 합리적 추론, 인지적 도덕 발달 심리학, 공리주의 등 무엇인가 학문적으로 정립되어 있고, 전통적으로도 뿌리와 역사가 깊은 내지는 수많은 철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온 굵직한 도덕 철학들은 우리(현대 민주 사회의 시민, 이성적으로 발달한 대학생으로서의 성인)가 배워야 할 대상이고, 그것들은 더 이상의 논의가 필요 없으며 따라서 한 치의 오차가 없어 보이는 도덕 철학들로 여겼었다.
그러나 한갓 도덕의 한 덕목으로만 생각했었던 ‘배려’를 ‘배려 윤리’차원에서 고민해보고 생각해보니 그 의의와 참신함이 나를 새롭게 매료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길리건이 학계에 던진 의의를 매우 높이 평가한다.
수업시간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사례에 대해 고민한 것이 배려윤리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어 그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교수님께서는 우리에게 “하인즈는 약을 훔쳤기 때문에 벌을 받아야 하는가? ”라고 물으셨다.
안타까운 사연이지만 불가피한 상황은 둘째로 보더라도 일단 결론적으로 도둑질을 함으로써 법을 어겼으므로 그에 대한 처벌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벌을 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정당성여부에 대해서는 상당한 고민이 필요하였다. 다른 학생들은 결론의 과정이 간소하였을지 모르겠지만 나는 왜 그런지 사소한 거에 까지 고려하며 결론을 내리는 과정이 복잡해졌다. 하인즈에 대한 사람에 관한 정보가 너무 없었기 때문이였다. 나는 하인즈가 어떤 배경 속에서 성장했고 어떤 성격을 가진 사람인지 등등을 따졌던 것 같다. 결국 정당성 여부까지의 결론은 내리지 못하였고 다음 질문을 받아들였다.
“여러분이 하인즈라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마치 이야기를 읽는 중에도 결론이 뻔하기도 하고, 동화에서 들어봄직도 한 이야기를 가지고 도덕성을 판단한다는 것에 의아심을 가지면서 나라는 사람이 행할 행동에 대해 감정적으로 치우치지 않으며 깊이 고민했다.
나는 도덕 교육을 공부하는 중이고, 윤리적으로 고찰해본다는 생각이 강했는지 결론은 상당히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시민형이였다. (행위의 정당성을 따지는 것보다 내가 취할 행동의 결과를 내리는 것은 오래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