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

 1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
 2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2
 3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3
 4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4
 5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5
 6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6
 7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7
 8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8
 9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9
 10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0
 11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1
 12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2
 13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3
 14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4
 15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5
 16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6
 17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7
 18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8
 19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19
 20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수학기초이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3-나 6. 분수와 소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 초등수학에 관한 이론

1. 수학화 모형
2. 초등 3학년 학생들에 대한 고찰


B. 초등수학의 실제

1. 학년
2. 영역
3. 연간 지도 계획
4. 단원 전개 계획
5. 교수-학습 과정안


C. 활동지 모음

본문내용
브루너에 의하면 아동의 지능은 표현 수단이 발달하는 순서와 그 사이의 조정 능력에 증대됨에 따라 발달한다. 이러한 표현 수단은 활동적 표현, 영상적 표현, 상징적 표현의 순서로 발달하는데, 이러한 브루너의 주장을 EIS이론이라고 한다. 활동적 표현은 인지 발달에 기본이 되는 것으로 발달과 더불에 점차 내면화 된다. 예를 들어, 신발의 짝을 맞춘다든가 검은 바둑돌을 보고 그만큼 흰 바둑돌을 따로 내어놓는 활동 등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활동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적 표현은 아동이 행동을 필요할 때 재생해 닐 수 있다는 표현 양식로, 다섯 개의 점으로 숫자 5를 나타내는 수도(數圖) 놀이 등이 그 예이다. 상징적 표현 양식은 추상적이고 가장 성과가 큰 방법이며, 기호를 사용한다는 것이 그 본질적인 특성이다. 예를 들어 수를 1, 2, 3 … 등의 숫자로 기하고 +, -, = 등의 기호를 사용하여 수식을 사용한다는 것은 상징적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스켐프는 ‘개념 학습’을 중시하였다. 수학에서의 개념 학습은 그보다 높은 차원에서의 수학적인 원리나 문제 해결 학습의 바탕을 마련해 주기 때문이다. 개념이란 아이디어로, 그 개념의 이름은 개념과 관련된 소리나 종이 위에 표시된 기호이며, 특정 개념에 명칭 부여를 함으로써 개념의 정례와 반례를 구분하는 것을 도와줄 때 해당 개념의 형성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수학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계적 이해’와 ‘도구적 이해’의 두 가지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관계적 이해란 일반적으로 ‘이해’한다고 하였을때의 이해에 가까운 것이고 도구적 이해는 일반적으로 이해에 대해 말할 때 별로 고려되지 않지만 어떤 수학적 법칙을 기억하거나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을 말한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3-나.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과서 수학 3-나.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