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

 1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
 2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2
 3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3
 4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4
 5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5
 6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6
 7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7
 8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8
 9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9
 10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0
 11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1
 12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2
 13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3
 14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4
 15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5
 16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6
 17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7
 18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 우리글 -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이정록 - 의자,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말 우리글 발표과제
목차

1.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2. 한영옥 -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3. 이정록 - 의자
4. 문현미 - 그날이 멀지 않다
시인, 당대시대의 배경, 작품분석, 느낀점을 기록
파워포인트 및 워드 작성, 작품 자료찾기 도움.
작품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조사.
작품 의자 조사
작품 사람은 사람을 생각한다 조사.
작품 그날이 멀지 않다 조사.
*작품이 희소하여 작품에 대한 자료 조사를 넉넉하게 하지 못한점 양해바랍니다.
1. 정호승 -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정호승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꽃잎에도 상처가 있다
너와 함께 걸었던 들길을 걸으면
들길에 앉아 저녁놀을 바라보면
상처 많은 풀잎들이 손을 흔든다
상처 많은 꽃잎들이
가장 향기롭다
정호승(鄭浩承,1950.1.3 - ) 시인에 대하여
1950년 대구에서 태어나 경희대 국문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7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가,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가,
198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시집으로 《슬픔이 기쁨에게》 《서울의 예수》《새벽편지》 등이,
시선집으로 《내가 사랑하는 사람》《흔들리지 않는 갈대》 등이,
어른이 읽는 동화로 《연인》《항아리》《모닥불》《기차 이야기》 등이,
산문집 《소년부처》 등이 있다.
등을 수상했다.
그 밖의 주요 작품으로 시집 《별들은 따뜻하다》(1990),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1997), 《외로우니까 사람이다》(1998), 《눈물이 나면 기차를 타라》(1999), 시선집 《흔들리지 않는 갈대》(2000), 《내가 사랑하는 사람》(2000) 등이 있고, 수필집 《첫눈 오는 날 만나자》(1996)와 동화집 《에밀레종의 슬픔》 《바다로 날아간 까치》(1996), 《연인》(1998), 《항아리》(1999), 《모닥불》(2000), 장편소설 《서울에는 바다가 없다》(1993) 등이 있다.
1970년대 현대시 경향
1960년대 이래 군사 정부가 채택한 개발 독재 전략의 결과로 상당한 수준의 산업화가 달성되었고, 경제적 효율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경제 제일주의, 혹은 근대화 지상주의가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이와 함께 정권을 영구화하려는 음모가 진전되면서 이른바 10월 유신이 단행되었다. 이로써 정치적 억압이 날로 가중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격차가 심화되고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었다.
산업화로 인해 일정 부분 생활수준이 향상되자 자연히 민주적 제권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격히 고조되었다. 이에 따라 억압적인 체제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이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이와 함께 노사 간의 대립과 갈등이 본격화되고, 산업화의 과정에서 소외된 농촌과 농민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등하였으며, 1960년대 이후 개화된 민족주의적인 의식이 점차 고조되었다.
문학도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 결과 1960년대에 이미 그 싹을 보여 주었던 참여문학 참여 문학이란 문학이 사회의 개혁이나 변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생각하에 쓰여지는 글들을
일컫는 것입이다.
이 말은 사회 변화에 대한 문학의 현실적 용도를 중시하고, 문학의 사회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기능을 강조하는 문학 형태를
일컫는 용어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참여 문학이라는 말이 널리 유행하게 된 것은 60년대 말경부터 시작되어 70년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