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1
 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2
 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3
 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4
 5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5
 6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6
 7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7
 8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8
 9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9
 10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10
 1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11
 1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1 - 고려속요
Ⅲ. 본론2 - 경기체가
Ⅳ. 본론3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
Ⅴ. 본론4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차이점
Ⅵ. 결론
Ⅰ. 서론
모든 역사적 장르는 연원기를 거쳐 어떤 계기에 의해 하나의 장르로서의 발생기를 갖게되고, 그것의 추진 주체로서의 담당층이 적극적으로 향유하게 되면서 발전기와 전성기를 맞게 되며, 담당층의 쇠퇴와 함께 소멸되어진다.
속요와 경기체가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향가 문학이 쇠퇴한 후 고려의 시가는 문자의 제약으로 한문학이 문학의 주류를 이루어왔으며, 우리 문학은 민속문학적 위치에서 겨우 이어져 오면서 평민문학과 귀족문학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뉘게 된다. 이로써 속요와 경기체가는 고려시대라는 공시적 배경 속에서의 공통점과 함께 속요는 속요대로, 또한 경기체가는 경기체가대로 고유한 특징을 보이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형식적인 면에서는 비슷한 구조를 보이면서도 다른 내용을 띠는 양상을 살펴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의 원인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1 - 고려속요
1. 고려속요의 개요
고려시대에는 한문학이 문학의 주류를 형성함으로써 우리 문학은 민속문학적위치에서 겨우 명맥만을 유지하여 왔고, 평민문학과 귀족문학이라는 두가지 문학이 발생하게 되었으니 귀족의 문학이라 볼 수 있는 경기체가와 평민문학이라 볼 수 있는 속요이다. 고려속요는 경치의 아름다움이나 허식 없는 소박하고 진솔한 내용으로 인해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서 문자가 없던 시대라 하더라도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져, 문자로 정착될 때까지의 숱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내용을 보면 고려속요는 다분히 체념적이고 해학적인 데가 있는가 하면, 세속을 초탈한 인생관이 담긴 선적인 관조가 그대로 나타나 있기도 하다. 고려속요는 가창형식으로 구전되었기 때문에 많은 변화를 겪었다. 이제부터 고려속요 또는 장가, 고려가요 등으로 불리는 우리의 옛 문학의 주제와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2. 고려속요의 내용상 특징
경기체가가 한문에 의존한 관념적인 언어의 유희에 빠진 듯한 느낌을 주며, 대체로 사물이나 경치를 나열 서술하였음에 대하여, 속요는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이 표현되어 있다. 이 허식 없는 소박하고 진솔한 내용은 그만큼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서, 문자가 없던 시대라 하더라도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져, 문자로 정착될 때까지의 숱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속요의 내용은 다분히 체념적이고 해학적인 데가 있는가 하면, 세속을 초탈한 인생관이 담긴 선적(禪的)인 관조가 그대로 나타나 있기도 하다. 체념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뛰어난 서정성을 지녔음이 이 속요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 할 만하다. 귀족층의 가요인 경기체가가 형식적이고 음풍영월식(吟風詠月式)인 데 비하여 그 내용이 매우 함축적인 데에 속요의 서정성이 있다.
3. 고려속요의 형식상 특징
속요의 형식에 대한 논의는 일정한 형식의 틀을 갖지 않는 자유로운 고려속요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정형이면서 비정형’이라든지, 심지어는 ‘자유형’이라고까지 할 정도로 고려속요는 개별 작품마다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려속요는 그 형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4가지 특징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