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1
 2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2
 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3
 4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4
 5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5
 6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6
 7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7
 8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8
 9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속요
ⅰ) 명칭 및 개념
ⅱ) 장르적 특성과 전개
ⅲ) 작자층, 향유층
ⅳ) 작가의식
ⅴ) 형식적, 내용적 특징
ⅵ) 문학사적 의의
2. 경기체가
ⅰ) 형성
ⅱ) 발생과 전개
ⅲ) 작자층, 향유층
ⅳ) 형식적, 내용적 특징
ⅴ) 문학사적 의의
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비교
ⅰ) 공통점
ⅱ) 차이점
Ⅰ. 서론
작품을 접함에 있어서 고려속요는 좀 더 쉽고 재미있다는 느낌을 받는데 반해, 경기체가는 어렵고 지루하다는 느낌을 쉽게 받는다.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속요는 재밌는데 반해 경기체가는 너무 어렵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었다. 이처럼 고려속요와 경기체가는 같은 시대에 형성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그 성격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럼 여기서는 어떤 점이 이러한 차이를 낳고 있는지, 공통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고려속요
ⅰ) 명칭 및 개념
원래 ‘속요’란 민속가요를 줄인 말이다. 민속가요란 말은 민간의 속된 가요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속요라 하면 본래 상층 문화권의 전통가요인 가곡 혹은 시조에 비해 정제되지 못한 노래, 곧 잡스럽거나 속된 하층문화권의 노래를 말하며 그 때문에 ‘속요’ 혹은 ‘잡가’라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의미에서의 속요라는 명칭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조선 후기에서부터 일제시대에 이르기까지 왕성하게 창작되고 향유되었기 때문에, 고려시대의 속요를 뒷시대의 것과 구분하기 위해 ‘고속요’ 또는 ‘고려속요’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속요라 함은 고려속요 즉 고려속가를 가르키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고, 조선시대 말기의 것은 잡가라 불리는 것이 일반적 추세이다.
이밖에도 속요를 지칭하는 말은 ‘장가’와 ‘별곡’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했는데, 장가는 작품의 길이가 기다는 뜻 외에 전혀 다른 역사적 의미를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가’는 고려가요의 길이가 길다는 사실에 착안한 명칭이다. 그러나 이 용어는 옛 문헌에서 짧은 시형인 단가에 비해 긴 형식의 ‘가사’를 지칭할 때 흔히 사용되었으므로 고려가요에만 쓰일 용어가 아니므로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판명이 된 상태이다. ‘별곡’은 고려가요 작품 명칭에 ··처럼 ‘별곡’이라는 용어가 붙어 있는 작품이 있음에 착안한 발상이다. 이는 의 형식이 고려가요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논거로 주장한 것이지만, 학계에서는 을 독립된 장르인 경기체가로 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편 조선조의 가사 작품에서도 처럼 ‘별곡’이라는 용어의 작품이 적지 않으므로 고려가요의 특성을 드러냄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속악가사는 《고려사》악지에 속악조가 있으므로 거기에 수록된 노랫말이라는 점에서 역사성을 띤 용어라는 강점은 있으나, 《고려사》의 속악에는 삼국속악과 한문 표기의 속악뿐만 아니라, 경기체가인 도 포함되므로 범주면에서 난점이 있다.
ⅱ) 장르적 특성과 전개
① 속요의 장르적 특성은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운율이 매우 소박하며 서민적이다. 또한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속요는 민속가요 가운데 민요를 궁중의 속악으로 전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발전해 갔으며 이러한 속요가 더욱 세력을 얻어 장르의 발전 및 전성기를 맞게 되자 무가 및 불가를 숭유하는 데까지 확산되어 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속요 장르의 논의는 그 중심적 위치에 놓이는 민요 계통의 속악 가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하지만 민요 그대로의 것이 아니기에 일정한 거리를 가진다. 그 거리는 개편과 윤식의 정도와 창의성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겠지만, 일단 속악가사로 개작된 것이니 만큼 민요의 순수성을 상당히 혹은 현저히 일탈하고, 대신 궁중의 속악 악장에 걸맞게 궁중의 호화스런 분위기, 송축적인 장엄함과 고상함, 탐락과 태평의 적극적인 추구 혹은 구가로 어조가 변질되거나 그러한 의미의 지향으로 전화되어 나타나게 됨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