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진남북조의 사상 조류

 1  위진남북조의 사상 조류-1
 2  위진남북조의 사상 조류-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위진남북조의 사상 조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위진남북조의 사상 조류
발제자
위진남북조의 사상조류는 대체적으로 현학의 발생과 도교의 발전으로 나눌 수 있다고 정리한다. 우선 사회적 배경으로 후한 말기 토지합병운동을 따라 문벌사족이라는 새로운 사회 계급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신생귀족들은 토지를 점용할 뿐만 아니라 교육 또는 관리 선발에 대한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 문벌사족들은 청의를 활용하여 황권皇權에 도전하지만 ‘당고黨錮의 화’에 의해 심각한 타격을 받아서 다른 출구를 모색하기에 이른다. 그들은 조정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에서 뒤로 한참 물러나 형이상학적 논담에 빠져 들었다. 위진남북조 하면 떠오르는 ‘청담淸談’과 ‘현학玄學’은 바로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출현한 것이다 라고 말한다.
우선, 현학이란 위진魏晉 시대의 노장사상을 숭상하는 사상적 흐름이고 《노자老子》, 《장자莊子》, 《주역周易》의 삼현三玄을 중시하였는데, 여기서 ‘현玄’이란 용어는 《노자》 1장의 현묘지문(玄妙之門)에서 유래하였다. ‘현’은 많은 주석가들에 의해 하늘이자 허공이며 텅텅 빈 무無로 설명되었다. 또한 ‘현’은 천지나 만물을 생산하는 근원적 힘이 방출되는 장소의 의미로도 이해되었다. 현학의 핵심을 요약해 보면 도가와 유가를 결합시킨 사상이라는 사실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불교 이론도 점차 현학 안에 포섭됨으로써 세 사상의 종합은 중국지성사에 추상적 사유의 일대 비약을 가져오게 된다.
하안과 왕필은 초기 현학의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이들은 만물이 무無를 근본으로 한다는 주장을 펼쳐 ‘귀무貴無’파로 불린다. 하안의 경우 ‘무’의 현실적 효용은 유가 경전인 《주역周易》으로 설명된다. 왕필은 전체 우주에는 최고의 본체인 도道 또는 무無가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사회에서도 지고한 통치자가 일반백성을 이끌고 사회에 질서를 부여해야 한다고 여겼다. 왕필의 주장은 겉으로는 유가식의 인의나 예법을 중시하지 않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위를 통하여 명교를 합리화하려 했던 것이다. 요약하면 통치자가 무위정치를 시행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무지무욕하게 하면 명교는 자연히 실행된다고 주장하였다. 이 외에도 ‘범진’은 ‘신멸론’을 통해 무신론적 입장을 표명하며 불교를 비판한다.
위진남북조의 도교가 역사 속에서 긍정적인 족적을 남긴 부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도교는 점복占卜·외단外丹·내단內丹·방중房中·토납吐納(호흡법) 등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는 이른바 ‘도술道術’을 만들어 냈다는 점이다. 둘째, 도교 논리의 일부는 강력한 사회 혁신적 관점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태평경太平經》에는 통치계급의 특권을 공격하는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태평경》에는 백성들을 괴롭히는 대규모 토목공사를 비판하는 내용과 생산물에 대한 공동소유의 필요성이 언급되어 있다. ‘태평’ 사상은 향후 수많은 농민 반란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토론자
문벌사족 계층이 현학을 제창하고 지지하게 된 이유에 대한 설명과 왕필의 무위가 왜 백성을 무지하고 무욕하게 만들고 그것이 다시 명교를 합리화하게 되는 것인지, 그리고《포박자》에서 개인의 장생불사를 추구하였다고 하는데 그것이 어떻게 군신관계를 합리화 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지 설명을 부탁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