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

 1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1
 2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2
 3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3
 4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4
 5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5
 6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6
 7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7
 8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8
 9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9
 10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10
 11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11
 12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12
 13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13
 14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14
 15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 고려말 소악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민중의 노래를 기록한 익재와 급암
-고려말 소악부-
Ⅰ. 서론
Ⅱ. 본론
1. 소악부
(1) 소악부의 명칭
(2) 고려조 소악부의 제작과 그 배경
2. 고려조 소악부
(1)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2)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3. 익재 소악부와 급암 소악부의 양식적 특성
(1) 내용
(2) 형식 - 시어, 율격, 서술법
4. 소악부의 문학사적 지위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조선 훈민정음 창제 이전까지 우리의 조상들은 한자를 빌어 기록을 하였다. 이에 당연히 문학도 한문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한문학은 우리나라의 문학으로 완전히 뿌리를 내리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우선은 글자를 배울 수 있는 계층이 한정적이었기에, 한문학의 담당층은 당연히 상층의 신분인 사람들만이 가능했고, 일반 민중들은 문학을 기록으로 남길 수가 없었다.
이러한 한문학과 달리 당시의 향가문학은 상하계급의 차별 없이 온 신라인이 함께 이해하고 즐기던 노래이며 문학이었다. 한문학이 표기수단은 비록 한자이지만 소재와 의경(意境)이 모두 우리나라의 것이라면 우리나라 문학으로 토착화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향가문학과의 접목이 바람직한 것이었다. 그러나 신라인들은 끝내 이를 달성하지 못한 채 한문학과 향가문학은 각각 별개의 문학으로 내려오게 되었고 따라서 두 개의 문학세계는 상호간에 아무런 관련이 없는 채 다음 시대인 고려에게로 인계(引繼)되었다.
신라로부터 인계받은 고려인들은 과거의 시행과 더불어 한문학에의 편향을 보였고, 특히 귀족문신들에 의해서 한문학지상주의로 내달았다. 행가문학은 한문학의 성화에 위축되어 겨우 명맥을 이어 오다가 정과정곡을 마지막 형태로 남기고 사라져 버렸다. 이러한 풍조는 한문학의 소재와 의경을 더욱 중국적인 쪽으로 끌어가게 되었고 문인들의 생활감각마저 중국화되어 갔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외적의 침구(侵寇)와 국내정치의 혼란 속에서 민족의 영웅과 역사를 소재로 한 장시를 창작하고, 신화, 전설 등 민간전승에 토대를 둔 설화문학이 대두하는 속에서 차차 사대부문학이 형성되었다. 이 시기 사대부문학은 특히 사회의 저부에서 애가와 고락으로 점철(點綴)되어 있는 서민들의 생활감정을 문학 속에 담는 특색을 보여주었다.
위와 같은 사정을 염두에 두고 살펴볼 때 고려말기의 사대부문학 속에 등장한 「소악부(小樂府)」는 한층 우리의 주목을 끈다. 소악부는 고려의 속요를 칠언절구의 시 형식 속에 담은 것이다. 다시 말하면 표기수단을 갖지 못한 구전의 속요들을 칠언절구의 시 형식을 빌어 재현시킨 것이다. 신라 향가와의 접목이 달성되지 못했던 한문학은 이제 고려속요와의 접목을 통해서 우리나라 문학으로서의 한문학의 토착화라는 전통적 명제의 성취과정에 중요한 한 이정표가 되었다고 할 것이다 이우성, 「고려말기의 소악부-고려속요와 사대부문학」,『한국한문학 연구』제 1집(1976), 한국한문학 연구회.
. 이러한 점에서 소악부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에 고려말 소악부가 어떻게 제작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소악부가 있는지, 그 안에 실린 고려속요는 무엇인지 그리고 양식적 특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소악부
(1) 소악부의 명칭
악부(樂府)는 원래 음악을 맡은 관부의 명칭으로 일전(一轉)해서 악장(樂章)을 뜻하는 말이 되었던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당대(唐代)에 들어오면서 고악부(古樂府)로 노래하던 것은 차차 쇠퇴해지고 시인들이 고악부의 제(題)를 따서 오언시(五言詩) 또는 장단구(長短句)를 짓는 풍향(風向)이 있었으나 악부는 이미 성시(聲詩)가 아니고 형시(形詩)로서 고시(古詩)의 일체가 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