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식코 감상문1

 1  영화 식코 감상문1-1
 2  영화 식코 감상문1-2
 3  영화 식코 감상문1-3
 4  영화 식코 감상문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 식코 감상문1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식코 영화감상문
저는 영화 를 보았습니다. 여기서는 영화 에 대한 줄거리와 저의 소감을 말해 보려고 합니다.
라는 영화는 미국의 민간 의료 보험에 대해 고발,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는 미국뿐만 아니라 캐나다, 영국, 프랑스, 쿠바의 의료보장제도에 대해서도 같이 나오는데 정말 비교가 되는 내용이었습니다. 미국에서는 국민이 보험을 들려고 해도 조건이 되지 않으면 들 수가 없다고 하였는데 어떤 사람은 키가 크고 말라서 안 되고, 어떤 사람은 키 작고 뚱뚱해서 안 된다며 보험을 들 수가 없다고 거절당했습니다. 이 사실 조차가 어이가 없었지만 보험을 든 사람도 보장을 받을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상황에 해당된다면 의료보험 혜택을 받기 어렵다고 하면서 목록이 나오는데 정말 끝도 없이 나오는 목록을 보면서 ‘이건 혜택을 받으라고 만든 건지 받지 못하게 하려고 만든 건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보험회사에서는 어떻게 해서든지 환자에게 보험금을 안주려고 트집을 잡9는다는 내용도 나왔는데 정말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또 미국에서는 일을 하다가 두 손가락이 절단되었는데 병원에서는 어떤 손가락을 붙일지 고르라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미국에서 의료민영화로 인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국민들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캐나다, 영국, 프랑스, 쿠바에서는 전혀 다른 내용을 담고 있어 더욱 미국과 비교되었습니다. 캐나다는 자국민에 대해 무상 의료복지를 시행합니다. 토미 더글라스라는 정치가가 캐나다 의료보장제도를 확립하였다고 합니다. 영국에서는 국민보건의료서비스(NHS)가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의사가 많은 환자들을 진료하면 그만큼 많은 보수를 받고, 새 정책에 따르면 자기 환자들이 금연에 성공하거나 혈압을 낮추었거나 정신건강 검사를 시키거나 하면 추가수당을 받는다고 합니다. 프랑스에서는 제일 인심 좋은 나라라고 말할 정도로 복지 혜택이 좋다고 말합니다. 양육비도 안 들고 대학도 무료로 다닌다고 합니다. 특히 대학교육이 무료라는 말에 충격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또 프랑스에서는 유급휴가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유급휴가는 최소 5주이고, 아프면 무조건 쉬라고 하며, 교대직이나 정규직이 똑같이 대우를 받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이 쉬어도 미국보다 생산율이 더 높다고 합니다. 결혼하면 일주일 휴가도 주고, 이사를 하는 날도 유급휴가로 대체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3개월 되면 국가에서 사람을 보내어 아기 재우는 것도 무료로 가르쳐준다고 합니다. 프랑스는 정말 복지가 잘 되어 있는 나라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런 반면에 미국은 병원비를 못 낸다는 이유하나로 아픈 사람을 차에 실어서 버려버리고 모른 체한다는 게 정말 무서웠고, 국민보다 수용소에 있는 사람을 더 잘 보살펴 준다는 게 말이 안 되는 것 같다고 생각되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쿠바를 보면 국민들은 국민건강보험을 누리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보건복지를 자랑할 뿐 아니라 제 3세계에서 의사들과 의료기기에 대해 가장 지원이 후한 나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한 사람이 의료비로 6천 달러를 쓴다고 하는데, 쿠바에서는 251달러만 쓴다고 합니다. 하지만 쿠바는 미국보다 유아 사망률도 낮고, 미국보다 평균 수명도 길다고 합니다. 쿠바에서 의료복지 차원에서의 유일한 단점은 돈 벌려고 일하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단점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미국은 국민들이 의료민영화로 인해 고통 받고 복지혜택을 누리지 못하며 살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미국의 사회복지정책은 탈권위주의적이며, 국가정책과 민간정책의 특징을 담고 있는데 민간정책이라고 해서 이렇게 국민들이 아파하는데 모른 척 하는 듯 한 국가의 태도는 너무하다고 생각됩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너무 화가 나기도 하면서, 이때까지 미국에 대한 이미지가 완전히 무너져 버리는 듯 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미국은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썩어 들어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복지 시스템이 엉망이었습니다. 평소에 미국은 병원에 가려면 돈이 많이 든다고는 들었지만 이정도 일 줄은 몰랐습니다. 정말 충격 그 자체였고 제 상식으로는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보면서 우리나라는 정말 의료보험제도가 잘 되어 있구나 라는 생각이 계속해서 들었고 정말 그것에 대해 감사하다는 생각도 많이 들었습니다. 이때까지 당연하다고 생각한 의료보험제도가 이렇게 감사하고 위대한 것인지는 몰랐습니다. 여기에서 나온 캐나다와 영국, 프랑스, 쿠바를 보면서 부러운 제도들도 많이 있었지만 그런 마음보다는 미국이 비교되며 나오는데 미국의 그런 복지 시스템이 더 안타까웠습니다. 아직까지도 생각이 나는 장면은 의료보험회사에서 환자가 아파서 보험을 받으려고 하니까 그 환자의 내력을 뽑아서 안 되는 이유를 찾아내어서 회사의 돈을 지키는 직원이 따로 있다는 게 정말 놀랍고 어이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아픈 사람들을 미국 최대의 의료보험 회사로부터 떼어놓는 일을 맡은 전화상담사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전화해서 보험처리에 대해 물어보면 보통은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를 말해주는데, 여기서는 어디부터 보장받지 못하는지가 주된 상담 내용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이런 것들은 정말 있을 수도 없는 상황인데 미국에서는 버젓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입니다. 이런 것들을 보면서 정말 한 나라에서 정책이라는 것이 중요한 비중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더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나 사회복지정책이 우리나라에서 미국처럼 행해진다면 저는 절대로 못 살 것 같습니다. 똑같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누구는 복지혜택을 누리며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반면, 누구는 늙어서 까지도 돈을 받기위해 일을 하면서 아등바등 힘들게 살아가고 아파도 제대로 치료도 못 받는 곳에서는 살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많은 것을 깨닫게 되었고, 특히 책에서 글로 배웠던 사회복지정책보다 이 영화 한 편으로 사회복지정책의 내용이 마음에 확 와 닿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을 배울 때, 뭐 얼마나 불편하고 비싸면 얼마나 비싸겠어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정도로 정책적 폐해가 있을 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진짜 눈으로 보고 느끼는 게 많은 도움이 되었고 좋은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