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

 1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1
 2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2
 3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3
 4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4
 5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5
 6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6
 7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7
 8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8
 9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9
 10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10
 11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11
 12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12
 13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13
 14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14
 15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언어] 인도의 언어정책- 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언어정책
1.2. 소수 언어 문제

2. 본 론
2.1. 인도의 언어 현황
2.2. 인도의 역사적 배경
2.3. 독립 이후 인도의 언어 상황과 정책

3. 결 론
본문내용
1. 서 론

한국에서는 ‘한국어’를 ‘모어’로 삼는 국민들이 살기 때문에 ‘국어’와 ‘한국어’가 같은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어가 한국어의 줄임말이라면 어색하지 않지만, 언어분류에 의해 National Language를 의미한다며 조금 혼란스러움이 생길 수도 있다. 만약 우리나라에 한국어만을 모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국민으로 생활한다면 국어의 의미는 더욱 애매해질 것이다.
세계 각국의 상황이 우리나라와 같지만은 않다. 단일 언어만을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로 언어공동체를 형성하고, 그 언어공동체가 국가와 범주가 일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다민족으로 구성된 국가에서는 필연적으로 다언어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순히 개인간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소수언어 사용자와 다수언어 사용자간에 보이지 않는 장벽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국은 언어정책(Language Policy)을 시행하고 있는데, 다언어 국가의 대표로 삼을 수 있는 인도의 상황을 통해 언어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1.1. 언어정책

언어정책을 연구하는 Moshe Nahir에 의하면, 언어정책은 5가지 개념으로 나뉘어 진다.
① 언어 순화(language purification): 언어의 순수성을 보존 유지하고 바른 언어 용법을 처방하는 것.
② 언어 재생(language revival): 옛말을 예전 상태로 복원하거나 죽은말(死語)을 재생시키는 것(가령 이스라엘 땅에 모인 유대인들이 다시 옛 히브리어를 재생해 쓰는 것 따위).
③ 언어 개혁(language reform): 언어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어휘나 표기법을 간결하게 고치는 것.
④ 언어 표준화(language standardization): 특정 지역의 언어나 방언을 전 지역의 주요 중심 언어로 표준화하는 것.
⑤ 어휘 현대화(lexical modernization): 言衆의 기존 어휘부(lexicon)와 현대 과학 문명의 발달로 인한 전문용어 사이의 틈을 메우고 연결짓는 것.

인도와 같은 다언어 사회 국가의 언어정책에서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위의 5가지 범주 중에서 4번인 언어표준화(Language standardization)라고 볼 수 있다. 언어를 표준화할 경우, 표준화된 언어는 ‘표준어’, ‘공용어’ 등의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으므로, 용어를 정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영어 공용화론이 제기되어 열띤 찬반 논쟁을 벌인 적이 있는데, 이 때 공영어의 개념을 정확하게 정의하
참고문헌
- 민현식, 「표준어와 언어정책론(1)」, 『선청어문 27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999.
- 박영순, 『이중/다중언어 교육론』, 한신문화사, 1997.
- 이광수.『인도문화: 특수성과 보편성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출판부, 1999.
- 이성연, 「소수민족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24집』, 1986.
- 이은구,『인도 문화의 이해』, 세창출판사, 1995.
- 최종찬,「인도의 언어와 정치」,『남아시아연구 제3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7.
- 한국외국어대학교 남아시아연구소 편,『인도의 오늘』,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0.
- Louis-Jean Calvet,『언어전쟁』, 김윤경, 김영서 공역, 한국문화사, 2001.

- 인터넷 http://www.mapsofindia.com
- 안정진,최완석,이강규,이기관.「인도의 다언어 현상과 그 정책」, 세계의 언어 2002년 수업자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