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1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1
 2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2
 3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3
 4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4
 5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5
 6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6
 7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7
 8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8
 9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9
 10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10
 11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11
 12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12
 13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13
 14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경우, 공식적인 초등영어교육은 교육부가 1982년부터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특활시간에 주당 1시간 정도로 희망하는 아동들에게 영어회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는 요지의「국민학교 영어 특별활동 운영방향(지침)」을 발표함으로써 도입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초등영어교육은 교육부가 정부의 ‘세계화’ 정책에 부응하여 초등학교 정규 영어교육의 실시를 위한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을 신설(교육부 고시 제 1995-7호)함으로써 1997년 3월부터 시작되었다.
2.누가 결정했나
교육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안병영
3.과연 합리적인가
외국어를 조기에 교육하는 것이 과연 타당성이 있느냐 하는 문제는 이론적으로나 실제적 측면에서 꽤 오랫동안 의견이 엇갈려 왔다. 물론 이 문제는 지금도 그 찬반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는 형편이어서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조기 영어교육의 타당성을 주장하는 이론적 근거로는 Chomsky (1965)의 언어습득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 가설, Penfield & Roberts(1959)와 Lenneberg(1967)의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가설, Schumann (1975)과 Brown(1980), 그리고 Krashen & Terrel (1983) 등의 사회적 및 정의적(affective) 관점, Piaget(1961)와 Rosansky (1975) 등의 인지론적(cognitive) 관점, 배두본(1995) 등의 정치적 및 경제적 관점이 있다(김해겸차호순, 1997; 김해겸, 1998).
이러한 이론들은 어느 하나만이 옳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조기 영어교육의 타당성을 확보해 주는 주요한 이론들로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실시에 나름대로 타당성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타당성은 일찍이 Doman(1964:39)이 인간은 어린 시절에 다섯 개의 외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으나 중·고등학교나 대학에서는 배울 수 없다고 주장한 점이나 Rivers (1981: 449)가 외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이라면 조기 영어교육의 이점을 중고등학교나 대학에서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초등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상당히 유익하다고 주장한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 막대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온 우리나라 중등학교 영어교육이 인지 발달상 형식적 조작기에 시작되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심각한 교육문제의 하나로서 비판의 대상이 된 지 오래인 상태에서 영어교육의 시기를 초등학교로 앞당겨 조기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문제는 환경적 여건만 충족된다면 다음의 네 가지 면에서 효과가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첫째, 언어의 습득은 형식적 조작기 이전에 가장 활발하고 사춘기가 지나면 능력이 둔화되기 때문에 나이가 어릴 때 실시하는 조기 영어교육은 효과가 있으리라는 점이다. 둘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시간수가 외국 어린이의 학습시간수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면 Ellis(1985:106)가 말한 바와 같이 전체 학습량의 증대로 인한 영어습득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구다는 점이다체적 조작기에 시작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어린이가 아직 정의적 여과장치가 낮은 상태에서 사회적 또는 의사소통적 상황에 더 쉽게 몰입하기 때문에 Stern(1983:367)이 말한 바와 같이 의사소통능력 개발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넷째, 어린이는 아직 발화 근육(speech muscles)이 완전히 발달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특히 발음습득 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
그러면 이러한 조기 영어교육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초등학교 조기 영어교육의 실시에 대해 반대하는 제언이 계속되고 있는데(김한길, 1997),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단적으로 말해서 교육여건이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효율적인 조기 영어교육을 실시할 만한 행정적 및 재정적 뒷받침, 교육과정 정비, 외국어 연수기관 설치, 교사 확보 및 재교육, 교수법 개발, 교수학습자료 개발, 과학적 교육시설 설치 등의 불비로 조기 영어교육이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다. 사실상 이러한 반대여론도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갖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여건이 여러가지 면에서 열악하고 불충분하기 때문에 특히 전문적 훈련을 받은 초등영어교사의 확보가 미흡한 상태이므로 이러한 반대 주장을 충분히 유념하면서 초등영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원래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은 복잡한 과정으로서 그 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변인들이 무수히 많지만, 적어도 위에서 언급한 인적 여건과 환경적 여건이 불비한 상황에서는 아무리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강조한다 해도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다. 오히려 학습 동기의 조기 저하, 재정의 낭비, 통일성 없는 학습자료와 교재의 남발로 인한 학습자의 부담 가중, 좋지 않은 발음의 습득 및 고착화 등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4..집행과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