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부동사의 용법

 1  중세국어 부동사의 용법-1
 2  중세국어 부동사의 용법-2
 3  중세국어 부동사의 용법-3
 4  중세국어 부동사의 용법-4
 5  중세국어 부동사의 용법-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국어 부동사의 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세국어란 고려 건국 이후(10세기)부터 16세기 말까지 7세기에 걸친 시기에 사용된 국어를 지칭한다. 이 시기는 14세기를 경계로 하여 전기와 후기로 양분된다.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는 대체로 고려 왕조에 해당하며 후기 중세국어의 시기는 조선 왕조의 처음 200년에
해당한다. 전기 중세국어는 주로 한자로 표기된 자료에 의하여, 후기 중세국어는 주로 훈민
정음 자료에 의하여 대표된다. 특히 15세기 중엽부터는 훈민정음의 창제로 인해 문헌자료가
풍부해져 국어 연구의 숨통을 어느 정도 틔워주고 있다.
이러한 중세국어의 문법체계 중에 부동사(副動詞)라는 것이 있다. 이기문 교수의 국어사 개설
에서 언급된, 우리말과 알타이제어와의 유사성을 설명하던 예 중의 하나였던 그것이다. 여기에서
의 부(副)는 돕다. 곁따르다를 뜻하는 한자어이다. 이를 통해 생각해보자면 부동사란 동사 옆
에 붙어서 문장 상, 의미 상에 도움을 주거나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 정도로 유추해 볼
수 있겠다. 국어학에서는 용언 활용형을 정동사, 부동사, 동명사로 분석하고 여기서 부동사가 [-종결성, +문접속]의 특징을 가진다고 하였다. 부동사는 용언에 종속적 연결어미가 결합되어
진 형태로 나타나는 바. 부동사는 모든 연결어미를 아우르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國語史槪設 - 李基文. 태학사
국어문법의이해 - 이광호. 태학사
中世國語文法論 - 安秉禧, 李珖鎬 공저. 學硏社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