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

 1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
 2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2
 3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3
 4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4
 5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5
 6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6
 7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7
 8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8
 9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9
 10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0
 11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1
 12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2
 13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3
 14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4
 15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5
 16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6
 17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7
 18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여는말

Ⅱ. 어말어미의 변천

ⅰ.고대국어

ⅱ.중세국어

ⅲ. 근대국어

ⅳ. 현대국어

Ⅲ. 맺음말

본문내용
Ⅰ. 여는말

어말어미란 활용 어미에서 맨 뒤에 오는 어미를 말한다. 어말어미는 그 변화 양상에 따라 動名詞 어미, 副動詞 어미, 定動詞 어미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동명사 어미는 그 어미를 지닌 동사가 일종의 명사와 같은 활용을 하도록 만드는 어미다. 부동사 어미는 다른 동사의 활용을 돕는 부사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용언의 어미를 바꾼 것이다. 정동사 어미는 문장의 끝에서 문장을 종결하고 경어법의 사용 여부를 알려주며 문장의 서법 등을 나타낸다. 이 분류는 이기문 선생의 논의를 따른 것으로 『국어사개설』을 중심으로 여러 도서들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경어법의 사용은 선어말어미에서 충분히 다루어졌다고 생각되어 따로 정리하지 않았다. 문장의 서법은 역시 이기문 선생의 분류에 따라 설명법, 명령법, 의문법, 감탄법의 네가지 범주로 나누어 자료를 정리하였다. 현대국어의 복잡한 활용 체계는 고대에 이미 완성되어 있었으므로 동일한 분류 기준에 따라 어말어미가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변화해 온 양상을 추적해본다.



Ⅱ. 어말어미의 변천

ⅰ.고대국어

1. 동명사어미
‘尸’(-ㄹ), ‘隱’ (-ㄴ) 등
예) 慕理尸心 그릴  (慕竹旨郞歌)
行乎尸道尸 녀올 길 ( 慕竹旨郞歌)
去隱春 간 봄 (慕竹旨郞歌)
참고문헌
안병희․이광호 (1990),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이기문(2005), 『신증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이익섭․이상억․채완(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장윤희 (2002),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홍종선(1998), 『근대국어 문법의 이해』, 박이정.
박진완 (1999), 「종결어미 연구사」,『현대의 국어연구사 1945-1998』, 김민수 편, 박이정.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