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1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1
 2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2
 3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3
 4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4
 5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5
 6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6
 7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7
 8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회에서의 시민과 사회과 교육의 방향 한국학교에서 시민 성교육 개선방안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글을 쓰고 있는 오늘도 인터넷을 비롯한 TV에서는 기무사의 민간인 사찰 의혹이 제기되어 굉장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불현듯 과거 대한민국의 리바이어던과 같은 존재였던 기무사 따위의 단어가 다시 대중들의 입에 오르내려야하는 현실을 현대문명의 총아인 인터넷으로 보고 있다는 이 상황도 매우 독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동시에 ‘사람들의 의식은 물질문명의 발전 속도를 과연 따라갈 수 있을까?’하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우리나라가 택한 대의민주주의 제도에서는 국민들의 선택이 국민들 자신을 다스릴 정부를 정하게 되어있다. 때문에 투표권을 갖고 있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의식이 모여 선택을 결정하게 되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사회 구성원의 가장 기초적인 출발점인 ‘한 사람의 의식’이다. 구성원 제각각이 어떤 의식을 갖고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때문에 구성원 각 개인은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하고, 모든 사회 구성원이 그럴 수는 없다해도,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인 선택에 대한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때문에 사회 구성원들의 기초적인 소양을 양성시키는 공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학교,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능력을 길러주는 초등학교에서는 그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의사 결정 능력을 교육시켜야 한다는 사회적 수요이자 의무를 수행해야만 한다.
실제로 현재 교육과정상 사회과의 목적은 민주 시민으로서 올바른 자질을 길러주는 데 있다. 바람직한 민주 시민이란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바탕으로 인권 존중, 관용과 타협의 정신, 사회정의의 실현, 공동체 의식, 참여와 책임 의식 등의 민주적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고, 나아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개인의 발전은 물론, 사회, 국가,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교육과학 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사회과)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올바른 민주 시민을 기르기에는 학교, 교사, 혹은 사회 전체의 문화가 오히려 방해꾼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시민 교육의 장이자 시민 양성의 기관인 학교가 특유의 폐쇄적인 운영방식, 운영 문화 등으로 인해 사회과 본연의 목적인 시민교육을 방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때문에 올바른 시민교육이라는 학교 본연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학교라는 교육기관의 한 주체이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 교사가 그 원인을 알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글에서는 시민의 정의와 시민 교육의 정의를 살펴보고 현재 우리가 다니고 있는 학교의 특징을 이해한 후 이를 기반으로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시민교육의 문제점 분석과 그에 따른 개선 방법들을 논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시민의 의미
시민의 의미는 단순하고 명확하게 서술할 수는 없다. 시민은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그 사회가 이루어지는 시간 및 공간의 배경 안에서 사회를 구성하고 삶을 영위하는 존재이며, 그들로 구성된 사회가 이미 ‘시민’의 개념을 암묵적 합의하에 도출해 내기 때문이다. 때문에 다양한 학자들이 시민의 개념에 관하여 논의를 하였는데, 그 중 가장 설득력이 있는 논지는 시민을 보편적인 인간 개념 및 역사적 의미,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다원주의 사회에서 각각의 의미를 찾은 연구이다. 강대현(2007), 사회과 교육목표로서의 ‘시민’의 개념, 사회과 교육
이에 따르면 시민은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이며 전체적인 공동체를 벗어나 민주적인 공동체를 지향한다. 또한 시민은 합리성과 정의 참여와 배려의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자신과 다른 개인과 집단에 대해 관용과 연대를 갖고 있다.(강대현, 2007) 즉 시민은 민주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합리성과 정의감을 갖추고 사회에 참여하고 타인을 배려하며 이질적인 구성원들에 대해서 관용으로 대하며 연대를 이룰 수 있는 존재라고 말할 수 있다.
2. 시민교육의 의미
우리가 보다 성숙된 시민사회를 바란다고 하는 것은 사회의 구성원들이 좋은 시민의 특성을 갖추길 기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민교육이란 시민정신 또는 시민성 함양을 추구하는 교육을 말한다. 즉, 시민으로서의 신념, 가치관, 태도, 능력 등의 자질을 갖추도록 돕는데 초점이 주어지는 교육이다. 시민교육은 구체적으로 교과의 수업 목표와 내용에 반영되어 수업활동으로 나타나야 학생에게 직접 경험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동안 시민교육의 내용 측면, 즉 지도해야 할 가치에 대하여 여러 연구가 있어 왔다. 그 중 가장 주목받는 연구 중 하나는 Engle과 Ochoa(1988)의 연구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대현 (2008), 시민교육을 위한 초등 사회과 수업의 분석과 재구성, 사회과 교육 제 47권, pp59~82
_____ (2007), 사회과 교육목표로서의 ‘시민’의 개념, 사회과 교육 46권, pp83~105
_____ (2009), 시민교육과 학교개혁, 사회과 교육 제 48권, pp79~93
고창근(2000), 초등학생의 민주시민 의식에 관한 연구:제주도내 초등학교 5, 6학년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제주교육대학원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사회과)
이해주(1998), 연구의 아이디어/연구의 동향:평생교육적 관점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교육학회소식지, 34(3), 한국교육학회
설규주(2004),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 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사회과교육 제 43권, pp.31~54
이재분외(2003), 초등학교 시민교육의 실제와 개선방향, 한국교육 제 30권, pp323~345
정세구 역(1989), 민주시민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Engle, S. H. & Ochoa, A. S.(1988),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