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범모 교육학의 가능성과 한계2

 1  정범모 교육학의 가능성과 한계2-1
 2  정범모 교육학의 가능성과 한계2-2
 3  정범모 교육학의 가능성과 한계2-3
 4  정범모 교육학의 가능성과 한계2-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범모 교육학의 가능성과 한계2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은 어떤 것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것이다. 그 중 교육을 조작적·공학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교육 활동이 가져올 결과에 비추어 설명하려는 입장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조작적·공학적으로 접근한 교육학자가 있는데, 대표적인 학자가 정범모이다. 그를 우리나라 교육학의 초석이라 보는 이가 있는가 하면, 그의 교육학이 갖는 한계를 인식해야 한다는 이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정범모의 교육개념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정범모는 교육학을 학문으로, 특히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으로 발전하는데 기여를 했다는 평을 받는다. 정범모는 ‘교육과 교육학(1968)’을 출간하며 교육의 개념과 교육학의 성격에 대해 밝혔다. 그는 교육을 ‘인간 행동의 계획적 변화’라고 정의함으로써 교육이라는 학문을 공학적·과학적으로 접근하였다.
정범모의 교육 개념의 중요한 요소는 ‘인간행동’, ‘변화’, ‘계획적’이라는 것이다. 먼저 그는 ‘인간 행동’을 정의함에 있어, 행동의 개념을 행동주의 심리학적으로만 국한하여 사용한 것이 아니다. 그에 따르면 인간 행동은 신체적 동작뿐만 아니라, 지식이나 사고, 가치관, 동기체제, 성격특성, 자아개념 등 내면적이고 불가시적인 행동을 포함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이런 내면적이고 불가시적인 특성 또한 행동으로 다룬 이유는, 교육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인간을 다루는 교육에 대해 ‘인간행동’이라는 대상으로 구체화함으로써, 더욱 과학적으로 학문을 체계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범모가 제시한 ‘변화’의 개념은 인간 행동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이며, 교육학이 다른 학문과 차별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변화’라는 것은 육성이나 조성, 함양, 개발, 교정, 개선, 성숙, 발달, 증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인간 행동에 대해서는 교육학뿐만 아니라 비단 정치학, 사회학, 경제학 등에서도 관심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학문과 다르게 교육은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것에서 나아가, 인간 행동의 ‘변화’에 관심을 갖는다는 점에서, 교육학은 하나의 학문으로서 다른 학문과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획적’ 이라는 개념은 교육활동이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의한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때의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목적, 교육이론, 교육과정을 포함한 것이다. 먼저 교육목적은 변화시키고자 하는 인간 행동에 관한 명확한 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활동의 이전에 이미 교육목적이 주어져야 한다. 또한 인간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이론을 교육이론이라 하고, 그 이론에 기반 되어 짜여진 구체적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이라 한다. 이렇듯 ‘계획적’이라는 개념은 인간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계획적이라는 것은 교육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로, 그는 교육목표와 교육이론, 교육과정을 수립해 행동의 변화를 의도하지 않으면 교육이라 할 수 없다고 보았다.

정범모 교육학은 교육학 전반에 걸쳐 여러 의의와 가능성을 갖는다.
첫째는 그가 우리나라 교육학의 학문적 기초를 다졌다는 것이다. 정범모 이전의 교육학은 학문으로서 교육학 연구가 거의 불모지와 같았다고 한다. 출처 : 허형(2000). 한국 교육학의 초석, 정범모. 한국대학교육협의회 p76
그런데 1950년대 초 그가 한국의 교육학을 기술, 설명, 통제 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교육을 과학의 토대에서 발전시켰고, 교육학을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였다.
둘째는 정범모의 교육개념이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의 개발과 체계를 정립하는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정범모는 ‘교육과정(1956)’이라는 이론서를 한국 최초로 출판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그의 교육과정 모형은 타일러의 영향을 많이 받아 관료주의 모형, 행동주의 모형, 공학적 모형, 합리적 모형이라는 평을 받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해 학교 교육의 개선이나 교육과정의 구성, 교육의 효과 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했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설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세 번째는 정범모의 교육학은 교육평가의 틀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1950년대에 교육평가는 학교 시간에 배운 지식의 내용을 단순히 암기해서 적어 놓는 시험을 통해, 점수와 성적을 매기는 것이 전부였다. 출처 : 허형(2000). 한국 교육학의 초석, 정범모. 한국대학교육협의회 p78
그런데 정범모가 ‘교육평가(1954)’라는 저서를 출간하면서 교육평가를 과학적으로 접근하게 되었고, 그 틀을 마련되었다.
그가 제시한 교육평가의 유형은 세 가지가 있다. 먼저 교육을 통해 길러지는 학생의 능력이나 행동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의 목적을 서술할 때 기대한 어떤 행동에 대해 명확하고, 행동적으로 서술해야 한다. 그런 교육의 목적을 달성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의 방법으로는 선택형, 서답형, 논술형 등을 활용한 질문지나, 학생의 행동 관찰 및 분석, 면접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참고문헌

신호승(2002). 교육이란 무엇인가?. 진로교육연구소 이론분과 세미나 p.2
유성상 외2(2016). 국가발전에 관한 오천석과 정범모의 교육발전 논의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이병승(2014). 교육철학탐구. 공주:공주대학교 교육학과
허형(2000). 한국 교육학의 초석, 정범모. 한국대학교육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