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역사사회학

 1  교육역사사회학-1
 2  교육역사사회학-2
 3  교육역사사회학-3
 4  교육역사사회학-4
 5  교육역사사회학-5
 6  교육역사사회학-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역사사회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발표주제 : ‘교육역사사회학’의 정의, ‘교육역사사회학’의 관심영역, ‘교육역사사회학’의 과제와 전망, ‘교육역사사회학’을 구현하기
♣ ‘교육역사사회학’이란?
1. 개요
역사 탐구와 사회 탐구의 조우는 흔히 역사사회학이라고 알려진 매우 독특한 탐구양식으로 발전되었다. 이 탐구양식은 그동안 사회과학과 역사학의 개별 학문체계 내에서는 좀처럼 설명하기 어려운 몇 가지 주요 현상과 사건을 의미 있게 설명하였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성취를 든다면 여러 형태로 나타난 이원론의 극복이다. 이를테면, 종래 이분법적인 범주로 파악하였던 개인과 사회, 의식과 존재, 개별선택과 집단행위, 행위와 사회구조 등의 대립을 통합할 수 있는 이론적, 방법론적 명제를 창출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논구하는 길을 열었다. 이 길을 따르는 일련의 연구는 대규모 사회구조적 변화과정의 실지 모습과 이 과정에서 개인의 행위와 경험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의미 있게 연결하였다. 인접 학문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주제인 자본주의적 사회이행, 노동시장의 변천, 국가의 형성 또는 계급형성 등과 같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사회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2. 소극적 방법으로 정의하기
교육역사사회학이란 종래 두 가지 서로 다른 탐구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는 교육사 연구와 교육사회학 연구가 실은 동일한 현상에 대한 연구이며, 따라서 동일한 과학철학적 전제와 설명 양식을 적용하는 한, 같은 종류의 탐구라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역사사회학이란 범주가 처음 등장할 때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과제는 자본주의 사회로의 이행, 시민혁명의 기원과 결과, 계급형성, 독재국가(또는 복지국가)의 출현 등과 같이 오랜 시간을 거쳐 이루어지는 대규모 사회변동이었다.
근대교육의 형성을 분석할 경우 교육사회학과 교육사 탐구간의 경계 구분은 큰 의미가 없다. 이 주제는 오랫동안 두 학문 분야에서, 상호적 교류 없이, 독자적으로 분석된 주제이다. 이 과제에서 핵심 주제는 형성이다. 지금까지 교육연구에서 이 용어는 주로 개인의 지적, 정의적 특질의 발달을 정의하는데 사용하였다. 특히, 개인의 심리적 발달 수준을 설명하기 위하여 의식, 태도, 가치관, 습관 성격, 마음 등의 심리적 변화를 형성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이 용어는 학생 개인의 심리적, 지적 발달 정도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때 형성이란 인간 발달 과정에서 각 개인의 심리적 특질이 가정 분명한 형태를 갖추게 되는 과정을 뜻한다. 나아가, 분석의 단위를 개인을 넘어서 조직화된 행위자,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 또는 교육제도나 사회체제로 옮길 경우에도 여전히 형성이라는 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선 후기 실학의 형성, 서양교육에서의 7 자유교과의 형성, 소수정예 엘리트 교육의 형성, 또는 국가교육체제의 형성이란 말을, 단순 기술적 용어 이상, 개념 또는 분석적 용어로 사용할 수 있다. 개인, 교과, 근대교육 등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떤 실재가(개별적인 것이든 집단적인 것이든) 그 특질을 가장 분명하게 갖추게 되는 과정”을 형성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 그러한 과정을 과학적으로 기술, 분석 및 설명할 수 있다.
교육역사사회학의 주된 탐구 대상은 어떤 사회적 힘이 작용하여, 한편에서 개인의 심리적 특질이 형성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교육체제의 특질이 형성되는가를 설명하는 일이다. 근대교육을 구성하는 요소는 오랜 역사를 거쳐 생성, 변화, 발전, 퇴행, 괴멸 및 재등장 한다. 여기서 시간은 교육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교육역사사회학이란 종래 교육학 영역 구분 방식에 매이지 않고 교육사와 교육사회학을 통합한 탐구이다. 탐구 대상이 되는 일련의 교육 현실 가운데, 근대 교육의 형성을 설명하는 것을 중심 과제 삼고 있다.
3. 적극적 방법으로 정의하기
교육역사사회학이란 “과학적”교육학의 한 형태이다. 여기서 “과학적”교육학이란 운주 정범모 교수가 『교육과 교육학』에서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규정한 바와 같은 의미다. 교육역사사회학이란 선생이 오래 전에 열어놓은 학문적 지평의 연장에서 선생이 보여준 교육학의 과학화 정신을 충실히 계승하고자 하는 탐구이다. 선생은 “교육학은 다른 사회과학과 같이, 우선 경험과학으로서 그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학도 “경험과학의 개념 구성, 법칙 발견, 이론 형성의 경험적 그리고 논리적인 원칙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보았다. 교육역사사회학에서의 “과학적”이란, 실증주의 과학철학을 대신하여, 실재론적 과학철학의 내적 규율에 충실한 과학이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교육역사사회학』 - 김기석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