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

 1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1
 2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2
 3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3
 4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4
 5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5
 6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6
 7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세 국어는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의 세 성조소가 뚜렷하게 구별된다는 점에서 성조 언어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사나 어미의 성조가 동음 이의어의 구별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고 평성, 상성, 거성의 대립이 어휘 형태소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순수한 성조 언어인 중국어와는 다른 점이다. 바로 이것이 중세 국어 성조의 특징이고, 이 특징으로 인해 중세 국어 성조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이 공존하게 되었다. 중세국어성조론 - 차재은
訓民正音에 나타난 四聲點에 관한 설명을 자세하게 분석해 보면,
첫째, 중국 한자음이나 15세기 중기 당시의 전승 조선 한자음의 四聲에 관한 설명이 아니고, 우리 말 聲調에 관한 설명이다.
둘째, ‘우리말의 입성은 일정하지 않다(諺之入聲無定)’라든가 ‘1점의 거성은 제일 높은 高調의 소리( 노 소리)요, 2점의 상성은 처음엔 낮았다가 차츰 높아가는 先低後高調의 소리(처미 갑고 냉즁이 노소리)요, 무점의 평성은 제일 낮은 低調의 소리( 가 소리)요, 입성은 빨리 끝은 닫는 소리(리 긋 소리)일 뿐 高低가 없는 소리이다.’라든가 하는 설명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말의 입성(‘ㄱ,ㄷ,ㅂ,ㅅ,ㅿ,ㅈ,ㅊ,ㅌ,ㅍ’등의 종성을 가진 음절)이란 한자음과 달리 일정한 입성 음절에 공통되는 성조가 없었다.
셋째, 따라서 15세기 중기의 우리말은 높은 소리[고조=거성], 낮은 소리[저조=평성], 처음은 낮았다가 점진적으로 높아 가는 소리[선저후고조=상성]의 3성조 언어인 듯이 보이나, 상성은 복합성조이기 때문에 결국은 2성조언어로 보아야 한다.
이렇듯 중국 성운학의 사성 이론을 우리말에 적용시켜 사용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없기 때문 中世國語文法論(15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 趙世用
에, 16세기 중엽 消失되었다. 16세기 초기에 나온 , 등은 傍點에 상당한 혼란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그러다가 16세기 중엽의 문헌인 과 16세기 후반의 문헌인 송광사 개판의 ,, 및 교정청 간행의 , 등에 이르면 이의 혼란이 더욱 심해진다. 더군다나 같은 시기에 간행된 ,, 서봉사 개판의 ,, 등에서는 방점표시를 처음부터 하지 않았다. 이같이 16세기 초엽 및 중엽의 방점표시의 혼란 예와 방점표시를 처음부터 하지 않은 문헌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방점의 소실은 16세기 중엽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中世國語文法論 - 安秉禧, 李珖鎬
Ⅱ. 본론
1. 聲調의 문제점
성조에 대해서는 그 방점표시가 모음의 장단, 또는 고저로 보는 견해로 갈리고 있다. 고저로 보는 견해는 다시 성조의 기본적 단위를 둘로 보느냐, 아니면 셋으로 보느냐의 설로 갈리며, 그것이 수평조만으로 되느냐, 아니면 굴곡조로도 볼 수 있느냐로 갈린다. 고저로 보는 견해는 다시 경상도 방언과 영동, 그리고 함경도 방언 등의 고저와 비교하여 15세기 성조표기의 타당성과 그 성조표기의 정체를 밝혀보려고 하고 있으며, 성조의 변동과 변천과 그 소멸시기 등에 대해 연구되고 있어 최근 성조연구에 대한 업적은 실로 다대한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나 본고에서, 성조에는 국어음의 개신의 의도가 있었다고 보고 이에 이견을 갖는다.
훈민정음 창제에 있어서 그 문자 구조나 철학적 배경이 중국의 그것과 거의 일치한다. 그런데, 중국의 正書法에서는 성조의 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데 어째서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는 방점으로 표기했을까 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당시에 성조가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방언적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일해야겠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만약 당시에 성조의 혼란이나 방언적 차이가 없고 그 체계가 혼란이 없었다면 거추장스럽게 굳이 성조표기를 할 필요성이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성조표기를 했다는 것은 어떤 의도가 분명히 있었을 것이라 보는 것이다. 더구나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방점이 찍혀 있다는 것은 통일의 개신의 의도가 있었다고 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音韻의 國語史的 硏究 - 徐廷範
중세국어성조론 - 차재은
中世國語文法論 - 安秉禧, 李珖鎬
中世國語文法論(15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 趙世用
표준중세국어문법론 - 고영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