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1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1
 2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2
 3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3
 4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John Stuart Mill (1806-73) was the most influential English language philosopher of the 19th century. He was a naturalist, a utilitarian, and a liberal, whose work explores the consequences of a thoroughgoing empiricist outlook. In doing so, he sought to combine the best of 18th century Enlightenment thinking with newly emerging currents of 19th century Romantic and historical philosophy.
Quantity VS Quality, Bentham VS Mill
양으로 승부하라, 벤담 VS 양보다는 질을, 존 스튜어트 밀
Jeremy Bentham’s Utilitarianism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
In the 18th century Jeremy Bentham lived in, as the Enlightenment (an intellectual movement which dominated the world of ideas in Europe in the 18th century)had started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in England, Bentham considered that the purpose of life was in pleasure and considered it the same as happiness. However, he considered it not within a personal level but to the society.
제러미 벤담이 살던 18세기 영국에서는 계몽주의(이성의 힘과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믿으며 현존질서를 타파하고 사회를 개혁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던 시대적인 사조)가 국민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면서 벤담은 인생의 목적이 쾌락에 있다고 보고 행복과 같다고 간주하였다. 단, 그것이 개인적인 차원 말고 사회와 연결되요 한다고 했다.
벤담은 공중적 쾌락주의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 법안을 만들면서 이름을 퍼트리게 되었다. 그리고 그의 제자가 되기를 원하는 스코틀랜드 사람도 나타났다. 그가 제임스 밀이고 나중에 나은 아들이 존 스튜어트 밀이다.
John Stuart Mill’s Utilitarianism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John Stuart Mill claimed that the human nature is bound to seek pleasure(happiness)and avoid pain but if a deed of a human expedites pleasure it is right and if it opposes to happiness it is wrong. Also like Bentham he insisted that this should not remain in a personal level but have an effect on as many people as possible. However, the difference from Bentham is that while Bentham thought that the amount of happiness was important, Mill focused on its’ quality. Mill left this well-known quote as he admitted the quality difference of pleasure. “It is better to be a human being dissatisfied than a pig satisfied; better to be Socrates dissatisfied than a fool satisfied.”
존 스튜어트 밀은 인간의 본성은 쾌락(행복)을 구하고 고통을 회피하기 마련인데, 인간의 어떤 행위가 행복을 촉진한다면 그것은 바르고, 행복과 반대된다면 그른 것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벤담처럼 이것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머무면 안되고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미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벤담과 다른 점이 있다면 벤담은 쾌락의 양을 중요시하는 반면에 밀은 질을 중요시했다. 밀은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면서 “만족한 돼지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이 더 낫고,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더 낫다”라는 유명한 말을 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