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생활과 문화

 1  국어생활과 문화-1
 2  국어생활과 문화-2
 3  국어생활과 문화-3
 4  국어생활과 문화-4
 5  국어생활과 문화-5
 6  국어생활과 문화-6
 7  국어생활과 문화-7
 8  국어생활과 문화-8
 9  국어생활과 문화-9
 10  국어생활과 문화-10
 11  국어생활과 문화-11
 12  국어생활과 문화-12
 13  국어생활과 문화-13
 14  국어생활과 문화-14
 15  국어생활과 문화-15
 16  국어생활과 문화-16
 17  국어생활과 문화-17
 18  국어생활과 문화-18
 19  국어생활과 문화-19
 20  국어생활과 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생활과 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어생활과 문화

1. 들어가며
2. 언어 층위별로 살펴본 국어 속 문화
2.1. 단어
2.2. 문장 구조
3. 언어 표현을 통해 살펴본 국어 속 문화
3.1. 어휘
3.2. 관용표현 - 속담
3.3. 유행어, 은어, 비속어
※ 교과서에서의 ‘국어생활과 문화’
※ 모의 임용문제
4. 나가며
2. 언어 층위별로 살펴본 국어 속 문화
2.1 단어
2.1.1 美의식
① ‘예쁘다’
약자로 자처하며 약자 편에 서서 그들과 공생, 공감하고자 하는 우리 민족의 심성
② ‘아름답다’
우리 민족은 본시 작은 것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적은 성취에도 만족하면서 살아왔다.
cf) ‘美’ : 중국인들은 큰 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인식한 듯
2.1.2 농경문화
① 사계절 이름발달
*‘철’ : 계절 또는사리를 분별하는 힘.제철을 모르고는 제대로 농사를 지을 수 없다는 것에서 의미 전이
- 봄 : 초목에 새 생명이 움트는 것를 직접 눈으로 확인한다는 뜻
- 여름 : 여름(열매)를 맺는 계절
- 가을 : ‘거둬들인다’라는 뜻을 지닌다.
- 겨울 : 날씨가 추워지기 전에 곳간 속에 곡식을 잘 갈무리해 두고 동면기에 들어가는 것
→ 인간 중심의 주관적 사고의 결과로 이러한 계절 명칭이 나오게 된 것
② 가르치다, 북돋우다
- 가르치다 : 갈다 + 치다의 복합어. 원시 상태의 밭을 갈거나, 돌을 갈고, 가축을 치듯 정성껏 자식을 키우는 일. 가르치는 일은 ‘사람에 있어 심전의 밭을 가는 쟁기질’인 것
- 북돋우다 : 농작물의 밑동에 붙은 흙(북)을 긁어모아 양분이 골고루 퍼지게 하고 직물이 바람에 쓰러지지 않게 하는 일.
③ ‘지아비, 지어미’
‘짓-’은 ‘짓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④ 쇠뜨기
소가 뜯어먹어서.
이는 우리가 소를 이용한 농경문화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