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

 1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
 2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2
 3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3
 4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4
 5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5
 6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6
 7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7
 8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8
 9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9
 10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0
 11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1
 12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2
 13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3
 14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4
 15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5
 16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6
 17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본론
[교사양성체제]
1. 현재의 교사양성체제
(1) 현재 교사양성체제의 내용
1) 교원자격 취득 교육과정
2) 교원선발방법
3) 법제상 내용
(2) 우리학교의 교원자격 취득 교육과정
(3) 현 교사양성체제의 문제점

2. 교사양성개편방안
(1) 배경
(2) 주요내용
1) 교원자격취득교육과정
2) 교원선발방법
(3) 10월 29일 개선안에 대한 한국교원단체 총 연합회의 입장
1) 10.29 문제
2) 교총이 제시한 해결방안

[ 바람직한 교사양성 방안 ]
1.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정의
(1) 교사론에서 말하는 바람직한 교사상
(2) 우리조에서 말하는 바람직한 교사상
2. 바람직한 교사양성 방안
(1) 교사론에서 말하는 바람직한 교사양성 방안
(2) 우리조에서 말하는 바람직한 교사양성 방안


◎ 결론
본문내용
중등교원임용고시 합격률 *특수, 양호, 사서교사의 수는 포함되지 않았음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그 합격률은 채 20%도 안 되는데, 교원의 수급과 공급이 전혀 따로 놀고 있는, 수많은 미 임용 교원자격증 소지자들이 적체되고 있는 형국입니다. 수많은 교원자격증 소지자들이 임용고시에 몇 해 동안 재수, 삼수, 심지어는 사수, 오수를 해가면서 응시하는 꼴이며, 교원자격증을 갖고 임용되지 않은 사람들의 수가 해가 갈수록 쌓이고 있는데, 도대체 그 수는 얼마나 될 것인가 하는 점에서 이는 엄청난 고등인력의 낭비이고, 사회의 여러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고등인력들을 실업자로 만드는 일입니다. 특히 애초 교사가 되고자 사범대에 입학한 교원자격증 소지자들은 졸업 후 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통로가 거의 없는 상태이며, 그 상당수는 입시학원 강사나, 초․중․고등학생 학습지 순회교사, 중․고등학교 시간제 강사로 나가고 있으며, 아예 대학시절부터나 아니면 졸업 후 얼마동안 다른 취업준비를 해서 일반 기업체에 입사하거나 하급 공무원으로 취직하고 있습니다. 사범대학생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은 비로소 임용고시에 붙어야만 설 수 있게 되었고, 임용되지 못한 사람들은 시험 불합격자로서 사회적으로는 능력 없는 사람으로 낙인 될 뿐입니다.
결국 교원양성기관이나 과정의 질은 답보되지 않는 상황에서 그 기관과 과정으로부터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수많은 사람들은 실제로는 임용되지 못한 채 계속 쌓여만 가는 모양이며, 이러한 교원 적체는 임용고시 실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지만 임용의 책임은 모두 개인의 능력문제로 전가되어 교원 적체는 은폐되고 있습니다.
2) 교원자격증의 자격증으로서의 위상 실추
교원자격증은 더 이상 자격증으로서의 독점적 지위를 갖지 못하는 상황인데, 사범대와 교직과정을 비교해 보더라도 교직과정 이수에 의해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사범대를 나왔다고 해서, 아니, 어떤 과정을 거쳤든 교원자격증이 있다고 해서 누구보다 제반 교육현상들에 대해 더 고민․연구해봤고, 교수방법론에 익숙하며, 교과목에 대해 잘 알고, 수업의 각종 변인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학교현장과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도나 이해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고, 교직관이 투철하며, 교사자격자로서의 각종 능력들을 갖추고 있다고 자신할 수 있을까요? 교원양성기관에서 양성하는 사람들이나 그 양성교육을 받는 사람들 상당수는 회의적인 의견일 것입니다. 교직적성과 교사로서의 능력이 선천적인 면, 성격적인 면도 상당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을지 모르지만 그렇다고 교원양성체제가 그 인정을 충분조건으로 상정할 수는 없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기실 그렇게 인정하는 모습이다. 단순하게 성격 좀 좋고 애들을 좋아하거나 또 잘 어울리는 사람이라면 교원자격증을 갖고 있는 사람 그 누구보다도 더 잘 가르치고 교육적 성과를 이룰 수도 있다는 것인데, 이 덕분에 사범대학생들 대부분은 자신들이 받는 교육에 대해 회의적이고, 전문성이 답보되지 않는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교원으로서의 자격은 이미 상정되어 있는 답을 되풀이하여 쓸 수 있다고 해서, 말할 수 있다고 해서 부여되거나 인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임용고시의 폐단으로 인해 더 이상 교원양성과정 내에서 교육에 대한 진지한 논의나 담론은 찾아보기 힘들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교육적 식견을 갖고 가장 왕성한 담론을 구성해나가야 할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