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통일전선 운동

 1  민족통일전선 운동-1
 2  민족통일전선 운동-2
 3  민족통일전선 운동-3
 4  민족통일전선 운동-4
 5  민족통일전선 운동-5
 6  민족통일전선 운동-6
 7  민족통일전선 운동-7
 8  민족통일전선 운동-8
 9  민족통일전선 운동-9
 10  민족통일전선 운동-10
 11  민족통일전선 운동-11
 12  민족통일전선 운동-12
 13  민족통일전선 운동-13
 14  민족통일전선 운동-14
 15  민족통일전선 운동-15
 16  민족통일전선 운동-16
 17  민족통일전선 운동-17
 18  민족통일전선 운동-18
 19  민족통일전선 운동-19
 20  민족통일전선 운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족통일전선 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민족통일전선 운동
★목 차★
1930년대
1.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의 활동과 민족혁명당의 성립
2. 조국 광복회
3. 7당통일회의
1940년대
1.좌우 독립운동 진영의 변화
2.좌익진영의 임시정부 참여와 통일전선정부의 형성
3.국내외 독립운동세력의 통일전선운동
해방이후
1. 조선건국준비위원회
2. 좌우합작운동
3. 남북협상
1919년 3.1운동 이후 민족운동전선
갈등과 대립
자치론을 주장하는 세력을 비판하며 절대 독립을 주장
일제 타도와 브루주 아 민주주의 실현
타협적
민족주의
비타협적
민족주의
사회주의
일제의 회유에 넘어가 독립을 포기하고 일본제국내에서의 자치주장
1930년대: 독립운동정당의 통일운동
1.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의 활동과 민족혁명당의 성립
유일당운동이 실패로 돌아간 후, 독립운동전선에는 ‘정당’을 표방한 단체들이 조직되기 시작. ‘독립운동정당’의 출현은 1920년대 중반 이후 유일당운동을 추진하였던 각 지역의 지역적 기반 및 정치이념에 따라 조직된 것. 이후 1930년데 독립운동전선은 기조의 조선의열단과 더불어 독립운동정당을 중심으로 세력의 결집이 이루어졌고, 이를 중심으로 독립운동 전개.
만주지역: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중국 관내지역: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우익진영 인사들이 한국독립당 조직
남경: 한국혁명당, 신한독립당 등
새로이 결성된 독립운동정당 및 단체들이 각각 독자적인 기반과 세력을 형성하고 분산적인 활동을 계속하자, 독립운동전선에서는 이들 각 단체의 전선통일을 이루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또한 세계적인 경제공황과 일제의 만주 침략으로 독립운동세력의 단결과 통일에 대한 요구가 또다시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은 1932년 10월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이하 통일동맹)이 결성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①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 상해에서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한국혁명당, 의열단, 한국광복동지회 5개 단체가 참여
- 중국지역뿐만 아니라 만주, 국내, 미주, 노령 등지에서 활동하는 모든 항일운동세력을 통일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1934년 3월 남경에서 개최된 제2차 대표회의를 통해서 독립운동세력의 전선통일을 위한 구체적방안 마련
- 임시정부를 폐지하고 민족단일당을 결성하여 이를 독립운동의 최고기구로 삼자고 주장
②한국국민당 창당
: 김구가 민족혁명당에 참가하지 않은 세력들을 규합하여 1935년 11월에 창당, 이를 기반으로 임시정부를 유지.
=> 1930년대 중반 독립운동전선은 임시정부, 한국국민당, 민족혁명당 중심으로 세력이 재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