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

 1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1
 2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2
 3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3
 4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4
 5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5
 6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6
 7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7
 8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8
 9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9
 10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10
 11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원예치료 미술치료의 실제 및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장에서는 미술치료의 개념 및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리고 매체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1.미술치료
1) 미술치료의 개념
미술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미술작업, 다시 말하면 그림이나 조소, 디자인기법 등과 같은 미술활동을 통해서 그들의 심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다. 미술치료는 회화요법, 묘화요법, 그림요법이라고도 하며, 음악치료, 놀이치료, 무용치료, 레크리에이션치료, 사이코드라마, 문학치료와 같은 예술치료의 한 영역이다.
미술치료라는 용어는 1961년『Bulletin of Art tberaphy』의 창간호에서 편집자인 Ulman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미술치료는 교육, 재활, 정신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떤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든지 간에 공통된 의미는 시각 예술이라는 수단을 이용하여 인격의 통합 혹은 재통합을 위한 시도다. 그동안 미술치료를 연구해 온 Naumburg : Kramer, Ulman은 미술치료 이론에 대한 자신의 지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에 중점을 두는 입장(Nanmburg : Art in therapy, 치료에서의 미술)이다. 치료자와 환자 사이의 치료적 관계 형성, 전이와 역전이의 해결, 자유연상, 자발적 그림표현과 해석, 그림의 상징성 등을 중시한다. 따라서 학자들은 이 입장을 심리치료 과정에서 그림을 매체로서 이용하는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둘째,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Kramer : Art as therapy, 치료로서의 미술, 창조와 자아성장)이다. 그림의 치료적속성은 그림에 대한 환자의 연상을 통하여 자기표현과 승화작용을 함으로써 자아가 성숙하는 데 있다. 즉, 미술작업을 통하여 환자 자신의 파괴적, 반사회적 에너지를 분출함으로써 그것을 감소시키거나 전환시킨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환자는 미술작업 과정에서 자신의 원시적 충동이나 환상에 접근하면서 갈등을 재 경험하고, 자기훈련과 인내를 배우는 과정 속에서 그 갈등을 해결하고 통합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Kramer 견해는 작품을 만드는 과정 자체를 치료라고 본다.
셋째, 통합적 입장(Ulman: Therapy and Creativity, 치료와 창조)이다. 미술과 치료의 두 가지 측면 모두를 중요시한다. 미술심리치료와 치료로서의 미술은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공간에 있는 두 측면이거나 또는 다른 시점에 동일한 치료자가 일을 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환자의 작품이 예술이냐 아니냐를 논하는 것보다는 대상에 따라서 상동적인 표현이나 강박적인 표현도 허용 하여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예술적 성취감을 중시해야 한다. 즉, 미술치료는 치료적 측면과 창조적 측면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떤 입장을 취하든 간에 미술치료는 심리치료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조형 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갈등을 조정하고, 동시에 자기표현과 승화작용을 통해서 자아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자발적인 미술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내적세계와 외적세계 간의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도록 도와 주기도 한다. 즉, 학자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고, 접근방법이나 적용대상에 따라 정신요법 적 미술치료, 재활 적 미술치료, 레크리에이션 적 미술치료 등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미술치료는 결국 이미지 표출 과정에 있어서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법으로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기법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언어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에서 지금까지 상실, 왜곡, 방어, 억압되어 있던 자기상, 자기 자신의 세계관을 재발견하여 자기 동일화, 자기실현을 꾀하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현대는 개인의 정신을 탐험하고 성장을 돕는 목적으로 미술작품을 활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개인과 대중예술 간의 전통적인 경계선을 재평가하는 추세다. 병원 장면은 미술치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정신과의사 들은 재활을 시켜야 하는 환자, 약물의존 환자 그리고 암, 화상 및 AIDS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미술치료사들의 도움을 많이 받아 왔다(Malchiodi, 1999). 이들이 사용하는 미술치료 기법을 조사한 연구를 보면 미국에서 활약하는 미술치료사들의 21%는 치료사 스스로 ‘절충적(electic)인 치료방향을 갖고 있다고 하였다. 이것은 선호기법을 조사한 것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 이었다.(Elkins & Stovall, 2000). 그 다음으로, 정신 역동적 모델(10.1%), Jung 모델(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모델의 공통성은 개인 내부의 심리적 역동성을 탐색한다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