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

 1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1
 2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2
 3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3
 4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4
 5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5
 6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6
 7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7
 8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8
 9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9
 10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10
 11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11
 12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12
 13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13
 14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지용 연구 모더니즘을 넘어 전통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지용은 193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김기림에 의해 최초의 모더니스트로 평가되며 우리에게 모더니즘 시인의 대표로 인식되어 왔다. 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이미지들은 현대 시인, 모더니즘 시인으로서 정지용을 잘 드러낸다.
하지만 정지용의 작품들은 모더니즘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의 시세계는 시기에 따라 변모해 간다. 모더니즘적 모습을 드러내면서도 이후 동시, 민요시, 종교시, 동양적 자연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폭넓은 시 세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그 다양함 속에 정지용이라는 한 작가의 시정신은 일관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정지용의 작품을 탐구하고 논의해 보면서 그의 문학 세계의 특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Ⅱ. 정지용의 생애
① 성장 및 가족 관계
정지용은 1902년 음력 5월 15일에 충북 옥천에서 태어났다. 4대 독자의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연못에서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태몽으로 지용(池龍)이라는 아명(兒名)을 얻는다. 이후 그 음을 따서 지용(芝溶)이 된다. 지용은 엄격한 아버지와 가난한 환경 속에서 유년기를 보낸다. 억압과 욕구 불만의 유년기 경험은 지용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 이다. 또한 그는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유년기를 보내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은 부정적 상황 속에서 지용의 유년을 구제하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분위기는 시인으로서 아름다운 꿈과 동경의 세계를 가지게 한다. 정지용의 시에 동시가 많은 것이나 이 동시들의 시적 수준이 결코 다른 시들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는 것도 그의 시적근원과 상상력의 소재(所在)가 어디인가를 알려주는 것이 된다.
정지용은 12살에 송재숙과 결혼한다. 그들 사이에는 10명이 넘는 자녀가 태어났는데 모두 태어나면서, 혹은 어려서 죽고 4남매만 장성하게 된다. 그의 시에서 자주 나타나는 죽음의 이미지는 그의 자녀의 죽음에 대한 아버지로서의 애끓는 심정의 표현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로서는 , , , ,< 람프> 등이 있다.
② 휘문고보와 《요람》동인 시절
어려운 환경에서도 지용은 17세 때인 1918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한다. 정지용의 문학활동은 휘문고보 시절부터로 1학년 때부터 《요람》동인을 만들어 활발한 문예활동으로 주목 받는다. 휘문고보 시절의 정지용은 학업 성적도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요람동인으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하였고, 《文友會》간부로서도 활약이 컸기 때문에 선생님의 귀여움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화제에 자주 오르는 인기있는 학생이었다고 한다.
③ 同志社大學 시절
정지용은 휘문에서 지급하는 교비 장학생으로 일본 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유학하게 된다. 그는 1923년에 同志社大學 예과에 입학하여 1929년에 졸업했다. 그는 일본 유학 시절에 詩誌《近代風景》에 1926년 12월에서 1928년까지에 걸쳐 시13편과, 산문 3편을 발표하였고, 동지사대학의교지에 일본어 시 1,2를 발표했다. 또한 그는 유학 기간 동안 《學潮》1호 에 등의 시와 시조 및 동요 9편을 발표함으로써 그의 공식적인 처녀시를 발표한 시기이기도 한다. 또한 유학 기간 동안 가지게 된 카톨릭 신앙은 그의 인생에 여러 가지로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Ⅶ. 참고 문헌
발표문 내 모든 시 : 정지용 사이버 문학관
한계전, 『한국현대시사연구』, 일지사, 1983.
최유찬, 『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실천문학사, 1997.
김윤석, 『한국 현대 시론 비판』, 일지사, 1975.
김재근, 「이미지즘 연구」, 정음사, 1973.
박태상,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2010.
최동호맹문제 외, 『다시 읽는 정지용 시』, 월인, 2003.
윤호병, 『한국 현대시와 가톨릭시즘』, 푸른사상, 2008.
김윤정,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지형도』, 푸른사상, 2005.
이석우, 『현대시의 아버지 정지용 평전』, 푸른사상, 2006
장도준,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1994.
정지연, 「모더니즘에 나타난 죽음 의식」, 계명대학교, 2009.
김기림,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1939.
문진아, 「정지용 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1993.
박노균, 「정지용의 문학사상과 서구 모더니즘」, 1998.
김종태, 「정지용 시의 문명 인식」, 『한국시학연구 제7호』, 2002.
※ 후기 ※
정지용을 통해 나를 다시 돌아볼 기회가 생겨서 다행이다. 정지용은 알면 알수록 참 따뜻한 시인 인 것 같다. 그는 동요시와 민요시를 주로 쓰며 시에서 그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느낄 수 있었다. 나는 그의 시를 읽으면서 나의 고향이 생각이 났다. 고향에서 신나게 뛰놀며 아무 근심 걱정 없이 지내던 때가 너무나 그립다. 사람은 크면 클수록 생각이 많아져서 웃음이 점점 살아진다. 그래서 정지용 시인이나 나, 그리고 대부분 사람들은 동년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마음이 생긴다. 지금 나에게 있어서 “고향”은 나의 목표가 되었다. 고향을 찾아간다는 것은 바로 나의 꿈을 찾아간다는 것과 같다.
예전에 현대문학사를 공부하면서 나는 머릿속에 정지용을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인’으로 규정해놓았다. 사실 그의 시라고는 「향수」나 「고향」같은 수능에 나오는 시들 밖에 읽어본 적이 없다. 이번에 정지용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의 작품들을 읽으면서 내가 그에게 문학사론의 족쇄를 채워 놓았음을 느꼈다. 이제야 그의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면서 조금이나마 정지용을 알게 된 느낌이다. 특히 그에게 「향수」만큼 좋은 시가 더 많이 있다는 것, 일생을 고뇌하고 노력하는 시인이었다는 그의 면면은 수업 첫날 정지용을 선택한 것을 뿌듯하고 의미 있게 느끼게 했다.
평소 정지용 시인에 대해 단순한 모더니즘 계열의 시인이라고만 생각했다. 더불어, 그의 표시의 이미지가 뇌리에 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 발표준비를 하면서, 정지용 시인이 현대시의 아버지라는 칭송을 얻을 만큼, 시문학계에 많은 공헌을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그가 능력있는 시인 발굴에 힘쓴 점은 높이 평가할만하다고 생각한다. 그가 작품성 있는 시창작의 노력뿐만 아니라 시문학계의 발전을 위해 앞장섰다는 점을 볼 때, 현재 시문학계에도 정지용같은 문인들이 많이 나와 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