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

 1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
 2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2
 3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3
 4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4
 5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5
 6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6
 7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7
 8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8
 9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9
 10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0
 11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1
 12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2
 13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3
 14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4
 15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5
 16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6
 17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7
 18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8
 19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19
 20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종교와 문화] 중국의 불교와 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근본불교
1. 근본불교의 정의
2. 근본불교라는 용어
3. 근본불교의 성립
1) 부처의 깨달음: 정각(正覺)
2) 최초의 설법
3) 전도선언
4. 근본불교의 체계
1) 연기
2) 무상

III 중국의 불교
1. 전래과정을 통해서 본 중국 불교 이해
최초로 불교를 전파한 인도 승려와 최초의 중국 승려
중국의 역경가
양무제의 불교 숭상
삼무일종
수ㆍ당 시대의 불교 종파
사찰
2. 선종
일체 중생은 모두 불성이 있다.
선종과 보리달마
무념위종ㆍ무상위체ㆍ무주위본
번뇌 즉 보리
육조 혜능
3. 교리를 통해서 본 중국 불교 이해
불교의 인간론 - 무아(無我)
불교의 구원관 - 열반(해탈)

IV 중국의 문화
보리수 / 만(만자) / 육식금지 / 편삼(장삼) / 49제 / 지장보살 / 염주 /
사천왕 / 사리 / 불상 / 소림무술

V 결론 : 중국 불교권 선교 전략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교는 한마디로 경계 혹은 벽을 넘어가는 것이다. 지리적인 경계, 문화적인 경계 등 그리스도의 복음이 한 경계를 넘어가는 것이 바로 선교인 것이다. 이때 필연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경계는 종교적인 경계일 것이다. 때문에 타 종교의 경계를 어떻게 넘어서 그 속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할 것인가는 선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처럼 우리가 선교해야 할 세계의 종교를 살펴보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세계의 3대 종교를 말한다면 기독교, 불교, 이슬람이다. 그 중에서도 불교는 인도에서 건너온 종교다. 인도의 원시불교가 각 나라에 소개되면서 문화에 맞게 토착화된 것이 현 불교의 모습이다. 특별히 중국으로 불교가 전래되면서 중국의 불교는 동북아시아의 불교화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중국불교의 전래는 원시사회 부락의 수장이었던 3황 5제 때 되었다는 견해도 있고, 주나라 소왕 때 이미 ‘불타’라는 이름이 알려졌다고도 하여 노자가 부처가 되었다는 근거 없는 이야기도 있으나, 가장 정확한 기록은 동한의 명제가 부처의 꿈을 꾸고 사신을 서방으로 파견하여 법을 구한 데서 비롯된다. 또한 양나라 혜교의 『고승전』에 의하면 최초로 불교를 전파한 인도 승려가 나타나는데 , 바로 섭마등이었다. 이 사람은 대승, 소승 경전 강해에 능통한 사람으로 외국을 돌아다니며 강의하던 사람이었다. 이 외에도 많은 불교의 경전을 번역할 수 있는 역경가들이 나타나 불교의 핵심사상을 중국에 전하는데 공헌했다.
참고문헌
김성화, 『나는 이렇게 예수를 믿게 되었다』, 서울: 성광문화사, 1990.
전호진, 『종교 다원주의와 타종교 선교 전략』,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4.
변인석ㆍ진경부ㆍ이호영, 『중국 명산 사찰과 해동승려』, 서울: 한국사학회, 2001.

가마다 시게오, 中國佛敎史, 정순일, 『중국불교사』, 서울: 경서원, 1985.
나라야스아키, 印度佛敎, 정호영, 『인도불교』, 서울: 민족사, 1994.
마즈다니 후미오, 根本佛敎理解, 홍사성, 『근본불교 이해』, 서울: 불교시대사, 1992.
마즈다니 후미오, 現代佛敎入門, 정병조, 『현대불교입문』, 서울: 현음사, 1990.
막스베버, Hinduismus und Buddhismus, 홍윤기,『힌두교와 불교』,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