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학] 한국의 불교

 1  [종교학] 한국의 불교-1
 2  [종교학] 한국의 불교-2
 3  [종교학] 한국의 불교-3
 4  [종교학] 한국의 불교-4
 5  [종교학] 한국의 불교-5
 6  [종교학] 한국의 불교-6
 7  [종교학] 한국의 불교-7
 8  [종교학] 한국의 불교-8
 9  [종교학] 한국의 불교-9
 10  [종교학] 한국의 불교-10
 11  [종교학] 한국의 불교-11
 12  [종교학] 한국의 불교-12
 13  [종교학] 한국의 불교-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종교학] 한국의 불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불교란 무엇인가?
2.붓다의 일생과 불교의 탄생
3.한국의 불교
4. 불교의 교의
5.불교의 기본교리
6.기독교와 불교

본문내용
1.불교란 무엇인가?
‘불교(Buddhism)'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붓다(Buddha)'의 이름을 중심으로 응집되어 있는 사상 실천 조직 들을 총칭하고 있다 불교고유의 용어로 표현하면 불교는 그 개조로서의 불교 그 의 가르침인 법 그리고 그를 따르는 공동체인 승 이러한 삼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불교는 기독교나 이슬람과 같이 붓다라고 하는 역사적 인물을 그 개조로서 갖고 있으며, 붓다가 깨달은 우주와 삶의 진리는 그의 교설을 통해 보편적 호소력을 지닌 종교의 토대가 되었다 또한 그의 가르침은 단순히 붓다 자신의 각성에서 끝나지 않고 그를 따르는 무리가 형성되게 됨에 따라 실질적인 종교의 모습으로 구체화되었다.
붓다가 본래 가르친 것이 무엇이었는지 지금 정확히 재구성해낸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가 당시 인도에 일반적이던 사상을 다시금 활용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해낼 수 있다. 예컨대 그는 윤회와 업 그리고 해탈이라는 중요한 관념을 자신의 사상 속에 받아들였다. 그러나 인도 재래의 윤회와 업이라는 사상을 받아들이면서도 해탈에 이르는 독특한 방법과 교설을 제시함으로써 그는 세계종교사 속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점유하는 ‘불교구원론(Buddhist soteriology)'의 정초를 놓았다.
본래 ‘구원(salvation)'이란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전이됨‘을 의미한다. 그것이 내포하는 것은 인간의 본래적 조건이 불완전하다는 것, 따라서 보다 나은 상태로 이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이다. 그 이행에 있어서 인간은 보통 신적인 힘에 의지하거나 혹은 그 자신의 노력에 의지하는 일체의 사상을 배격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깨달음이 신의 계시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의 고유한 체험 속에서 증득되었음을 분명히 하였다.
참고문헌
여익구,《민중불교 입문》,풀빛. 1985.
유동식,《한국종교와 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1995.
채필권,《비교종교론》, 대한기독교서회. 1968.
한국종교연구회, 《세계종교사입문》,청년사. 2001.
최정만,《비교종교학개론》, 이레서원. 2002.
최준식, 《한국의 종교,문화로 읽는다1》, 사계절. 1998.
케네스 첸, 길희성 윤영해 역,《불교의 이해》,분도출판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