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111-134.
김진아, 이형실 (2011).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환경과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2), 149-159.
최보가, 임지영 (1999).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외로움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5)
1장. 현실치료 모델
1. 현실치료란?
클라이언트의 현재 행동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정확히 발견하고 현실을 직면하여 성공 정체감을 갖도록 도와주는 치료방법으로서 정신과 의사인 William Glasser에 의해 치료모델로 개발되었다. 그는 현실치료를 "모든 환자를 현실로 이끌어 주고 현
제1절 개인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은 Alfred Adler가 주창한 이론이다. Adler는 1870년2월7일 오스트리아의 비엔나 근교의 펜징에서 6남 2녀 중 셋째로 태어났으며 그의 형제 중 1명은 어려서 사망했다. Adler는 차남이었고 아동기의 유약함과 열등감을 극복하고 보상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생활양식
거부반응으로 정의하고, 식품 민감성(food hypersensitivity)이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진단 기준이 아직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으므로 그 발병 빈도도 다양하다. 유아기에 가장 출현 빈도가 높고 아동기에 훨씬 낮아지며, 성인에게서 가장 낮다.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
'특정 식품을 먹은 후에 인체의 면역기전을 통해 특정 기관에 기능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식품에 대한 거부반응 '으로 정의하고, 식품 민감성 (food hyper sensit ivity)이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식품 알레르기는 유아기에 가장 출현빈도가 높고 아동기에 훨씬 낮아지며, 성인에게서 가장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