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

 1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
 2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2
 3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3
 4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4
 5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5
 6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6
 7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7
 8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8
 9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9
 10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0
 11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1
 12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2
 13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3
 14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4
 15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5
 16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6
 17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7
 18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8
 19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19
 20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댓글문화] 댓글 저널리즘의 가능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댓글의 개념 1

1. 댓글의 개념 발달 1


제2장 댓글의 구조와 작동원리 1

1. 발달 1
1) 댓글의 역사, 발달 1
2) 댓글의 기능 5
3) 댓글과 사회 6

2. 댓글 작동 방식 10
1) 댓글의 기능 10
3. 사용분류/ 사용경향/현황 11
1) 사용자 유형 13
2) 댓글 문화 18
3) 댓글의 상품화

제3장 댓글의 커뮤니케이션 33

1. 가상/현실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특성 33


제4장 미래주목 포인트 34
1. 댓글의 위기 34
2. 댓글의 나아갈 길 36

참고문헌 39
본문내용
인터넷에서 이용자들로 하여금 문제 해결을 위해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 주체로 변모시킴으로써 여론 형성을 위한 새로운 공론장(Public sphere)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댓글이 있다. 사이버공간을 통해 회원들 또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넷 게시판이 활성화되면서 나타난 말이다. 인터넷 게시판 이용자들 사이에 주고받는 글쓰기 문화를 통틀어 일컫는 개념으로, 인터넷 문화 또는 인터넷 게시판 문화의 하위 범주에 속한다.
'댓글'은 '대답하다, 응수하다'를 뜻하는 영어 단어 '리플라이(reply)'를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형태상 한자어 접두사 '대(對)'와 사이시옷(ㅅ)+'글'로 분해된다. 뜻대로 해석하면 '대답하는 글, 상대하는 글' 또는 줄여서 '답글' 정도로 풀이된다. 본래 '리플라이'를 줄여서 '리플'로 부르던 것을 적당한 우리말로 만든 단어가 댓글이다.
다른 사람이 올린 글에 자신의 의견을 다는 긴 글에서 요즘은 짧은 의견을 다는 것으로 달라졌다. 한 사람이 어떤 의견을 게시판에 올리면 이를 본 다른 사람이 자신의 의견을 붙이는데 이런 글을 댓글(Reply)이라고 한다.

(1)댓글 저널리즘이란?
 사안에 따라서는 한가지 주제를 놓고 워낙 많은 댓글이 붙게 된다. 이런 현상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댓글저널리즘」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다. 누리꾼의 글이 게시판에 오르고, 이에 다른 누리꾼이 댓글로 반응하고 글 내용의 '옥석'이 가려지면서 여론화되는 현상, 이를 이라 하며 이것의 파급력과 파괴력은 기존 언론을 능가할 정도이다. 바로 이런 누리꾼의 글과 댓글로 인해 세상을 바꾸기도 했지만, 때로는 근거 없는 소문이 인터넷을 타고 마녀사냥이 되어 억울한 희생자를 양산하곤 한다. 이 같은 댓글 저널리즘은 인터넷 강국 한국의 누리꾼이라는 개미군단이 이루어내는 가장 한국적 현상이면서 수없이 많은 빛과 그림자를 만들어내고 있다.
참고문헌
최낙진/세계사/2000

김병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회/2004

이재현,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0

나도삼, 한울 아카데미, 2000

국립국어원, 신선경,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구본권,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4

김익현,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4

박소라, 윤성옥, 양지윤,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강준만 외, 개마고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