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

 1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1
 2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2
 3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3
 4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4
 5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5
 6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6
 7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7
 8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8
 9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9
 10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10
 11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11
 12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운문자]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 구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절 단위의 필요성


2. 한국어의 음절
(1) 음절의 유형 분류
(2) 전이음 처리에 대한 논의
(3) 음절 구조
(4) 음절구조가 발음에 미치는 영향


3.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을 통해 살펴본 한국어의 음절구조
(1) 반복 유형에 따른 의성의태어의 분류
(2) 의성의태어의 부분반복과 한국어의 음절구조


4. 요약
본문내용
1. 음절 단위의 필요성
음절이란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상위범주이며, 한 언어를 발화할 때 전후의 음의 경계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 단위이다.
그러나 음절이 이러한 음운 단위로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에 대한 연구는 초기 생성음운론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때까지 음절을 음운 단위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후 Pulgram(1970), Vennemann(1972), 그리고 Hooper(1972)와 같은 학자들의 연구에서부터 음절을 중요한 단위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시작을 통해 음절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한국어 음운론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한국어 음운론에서도 음절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만이 한국어에서 음절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것은 아니다. 한국어는 일찍부터 음절 개념이 중시되어온 언어이기 때문이다. 우리말의 문자 체계를 정립한 훈민정음에서는 음운 분석의 기본 단위가 음절이다. 초성, 중성, 종성이라는 용어 자체가 하나의 음절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발화는 음절 단위로 인식되고 표기 되었다. 다음의 구절은 초성, 중성, 종성이 모여 하나의 소리를 이룬다는 뜻으로 이것의 개념은 음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창원(1993), 현대 국어 의성 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새국어생활 제3권 제2호(93년 여름)
박창원, 오미영, 오은진(2006), 한․영․일 음운 대비, 한국문화사
이익섭, 이상억, 채완(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조성문(2004),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 11권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