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

 1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
 2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2
 3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3
 4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4
 5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5
 6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6
 7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7
 8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8
 9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9
 10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0
 11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1
 12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2
 13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3
 14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4
 15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5
 16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6
 17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7
 18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8
 19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19
 20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행정]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고구려과 백제의 교육
1. 고구려의 교육 개관
2. 태학 [太學]
3. 경당 [扃堂]
1) 경당의 형성 배경2) 경당의 성격
3) 교육내용 4) 교육의 수준
4. 백제의 교육
1) 내법좌평 2) 박사제도

2장. 화랑도 [花郞徒]
1. 화랑도의 설립
2. 화랑도의 조직
3. 화랑도의 성격
4. 화랑도의 교육목적
1) 인재양성과 무사양성을 통한 국가 안위의 보전
2) 종교적․도덕적․군사적․실천적 인간의 양성
5. 화랑도의 교육내용과 방법
1) 실생활 중심의 전인교육 2) 유학교육
3) 인격도야 4) 정서함양
5) 심신수련과 군사훈련

3장. 통일신라의 국학과 독서삼품과
1. 통일신라의 국학 [國學]
(1) 국학의 설립 (2) 국학의 목적
(3) 국학의 직제와 입학자격 (4) 국학의 교육내용
(5) 문묘의 설치
2.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1) 실시배경 (2) 독서삼품과의 내용
(3) 독서삼품과에 교육적 의의와 그 한계

4장. 신라의 교육사상
1. 원효의 교육사상
1)원효 [元曉, 617~686.3.30] 의 생애
2) 원효의 교육사상
(1) “자학자습(自學自習)에 의한 내적 자각의 이론”
(2) 실천궁행(實踐躬行)의 사상
(3) 화쟁(和諍)사상
2. 설총의 교육사상
1) 군왕교육의 방향제시
2) 새로운 교수법의 창안
3.원광 [圓光, 541~630?]의 교육사상
1) 이상적 인간상 2) 세속 5계
3)화랑도 지도

5장. 고려시대 교육의 특성
1. 고려유학의 성격
(1) 한당유학의 영향 (2) 문장의 중시
2. 고려시대교육의 특성
(1) 과거제도와 교육의 연계
(2) 관학의 체계미비

6장. 고려의 국자감 [國子監]
1. 국자감의 설립과 전개
(1) 설립 (2) 국자감의 부흥 노력
(3) 성리학의 도입과 국자감의 변화
(4) 국자감 명칭의 변경
2. 국자감의 조직과 편제
1) 학과 2) 교수진
3) 문묘의 설치
4) 각 과별 입학자격
3. 국자감의 교육목적
(1) 관리의 양성 (2) 유학자의 배출
4. 국자감의 교육내용과 방법
(1) 교육내용 (2) 교육방법
5. 국자감의 장학제도와 도서관
(1) 장학제도 (2) 도서관

7장. 고려의 학당과 향교
1. 학당
(1) 학당의 설립 (2) 학당의 성격
2. 향교
(1) 향교의 설립 (2) 향교의 성격

8장. 고려의 과거제도와 교육
1. 과거의 종류 2. 응시자격 3. 음서제도

9장. 고려의 사학 - 12도와 서당
1. 십이도 [十二徒]
(1) 설립 (2) 12도의 성격
(3) 교육방법
2. 서당 [書堂]





참고자료



본문내용

1장. 고구려과 백제의 교육
1. 고구려의 교육 개관
1) 고구려는 국초부터 문자를 사용하여 「유기」라는 100권의 역사책을 편찬했고 불교의 공인과 태학이라는 학교를 세워 유교경전을 가르친 고대국가였다.
2) 불교가 군왕은 물론 민중의 교화에까지 영향을 미친 데 반해 유교는 초기 군왕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귀족관리들에게만 국한된 학문이었다.
3) 충효를 바탕으로 하는 유교의 논리는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확립에 중요한 논리로 작용했다. 그래서 충효사상을 관리들에게 확산시키고 그를 바탕으로 국가를 경영하고자 했다.
2. 태학 [太學]
372년 고구려에서 설립된 교육기관으로 귀족의 자제를 대상으로 교육하였다. 고구려에서는 372년(소수림왕 2) 전진(前秦)의 제도를 본떠 국립학교로서 중앙에 설치하였는데, 이것이 한국역사상 학교교육의 시초가 된다. 상류계급의 자제들만이 입학할 수 있는 귀족학교였으며 태학에서 교육을 담당한 교수는 소형(小兄) 이상의 관등을 가진 사람이 태학박사로 임명되었다. 고구려에서 최고의 학식을 가진 인물이 선별되어 경학(經學)·문학·무예 등을 가르쳤다. 고려시대에는 국자감(國子監)의 한 분과(分科)로 인종 때 설치하였다. 대학(大學)이라고도 하며 정원은 300명으로, 문무관 5품 이상의 자손과 3품관의 증손에 한하여 입학할 자격을 주었다. 박사(博士) ·조교(助敎) 등 교관을 두어 《역경(易經)》 《시경(詩經)》 《서경(書經)》 《삼례(三禮)》 《삼전춘추(三傳春秋)》 《효경(孝經)》 《논어(論語)》 등을 가르쳤으며 수업연한은 8년 반이었다.
1) 태학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세워진 국립 고등교육기관이다.
2) 교육내용에 관한 기록이 없어 구체적인 대학의 이념과 학제, 그리고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3) 그러나 학교의 설립은 귀족자제들에 대한 한문, 한자 그리고 충효사상의 교습을 전제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당시 중국 국학의 교육내용인 오경(시전, 서전, 주역, 예기, 춘추)과 삼사(사기, 한서, 후한서)가 중요한 학습의 내용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직접 서술] 수업 중 제출한 자료와 검색 통해 정리한 것에 제 의견을 넣었습니다.
하고 싶은 말
한국교육제도-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
상세하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방문자 여러분의 학업에
무궁한 발전이 있으시고
모든일 만사형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