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

 1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
 2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2
 3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3
 4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4
 5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5
 6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6
 7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7
 8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8
 9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9
 10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0
 11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1
 12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2
 13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3
 14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4
 15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5
 16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6
 17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고전산문] 송맹동야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작가소개와 작품 배경




작품 분석 및 해석
본문내용
< 1 > 작가소개 및 작품배경
1. 작가소개
1) 한유(韓愈 :768~824)의 생애
한유는 당(唐)나라의 문학자이며 사상가였다.
한유의 자는 퇴지(退之), 조적(祖籍)은 하북(河北) 창려(昌黎)인데 선대에 하남 수무현 으로 이사했다. 그의 부친은 현령을 지냈으나 일찍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어려서부터 형의 집에서 성장했으며, 형도 일찍 세상을 떠나 형수 밑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한유는 어려서부터 건실하고 진지했으며 스스로 공부에 뜻이 있다고 터득하고 소년 시기에 이미 육경(六經), 제자(諸子)의 글을 다 읽었다. 25세에 진사에 급제하여 처음에는 번진(藩鎭) 대관(大官)에 의지하여 추관(推官)이 되었고, 30세부터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근엄하고 성실했던 한유는 지방관직과 중앙관직을 두루 역임하면서 비교적 순탄한 관직생활을 하였다. 그는 사문박사(四門博士)가 되었다. 감찰어사로 옮겼으나 사건으로 산양령(山陽令)으로 폄직(貶職)되었고, 강릉법조참군(江陵法曹參軍)이 되었다. 헌종(憲宗)때에 국자박사(國子博士)에 임용, 하남령(河南令)에 배(拜)하였고, 사관수찬(史館修撰)에 전임 지재고(知制고) 로 중서사인(中書舍人)에 승진하였다. 표(表)를 올려 불골(佛骨)을 맞는 일을 간하다가 조주자사(潮洲刺史)에 폄직 되었는데, 목종(穆宗)때 불리어 국자좨주(國子좨酒)가되었고, 병부시랑(兵部侍郞)에 전임하였다. 진주 반란에, 그는 위험을 돌보지 않고 홀 몸으로 가서 선무하여 난은 결국 평정되엇다. 그 공적으로 이부시랑(吏部侍郞)에 전임, 경조윤(京兆尹)이되어 어사대부(御史大夫)를 겸하였다. 시호(諡號)는 문공(文公),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추증(追贈)되었다.

2) 한유의 문학관과 고문의 특성
한유는 이전까지 제기되었던 여러 고문가들의 이론을 집대성 하여 고문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아울러 탁월한 창작역량을 발휘하여 변려문을 능가하는 수준 높은 고문을 지어냈다. 제도라는 유가적 문학관을 고취했던 한유의 견해는 당시의 고문운동에 있어 보편적인 주장이었다. 그에 덧붙여 한유는 몇 가지 측면에서 독특한 견해를 제기하기도 하였다. 또한 유가사상과 자신의 문학에 대해 확신하고 있었던 한유는 , , , , 등 유가사상을 천명하고 불교와 도교를 강하게 비판하는 글을 많이 지었다.
한유는 삼대로부터 양한까지의 유가적인 글, 나아가 위진시대까지의 글은 높이 평가 했지만 남북조시대 이후의 글과 유가사상을 벗어난 글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이었다. 한유가 높이 평가했던 글들은 고대의 경전과 역사서, 가의(賈誼)와 이사(李斯) 등이 지었던 정치적인 논설문들과 한대 동중서와 정현이 대표하는 유가사상서, 위진시대 삼조와 건안칠자의 우국적인 글 등이었다.
한유는 남북조 시대의 문학 전반을 배척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유가사상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냉소적인 제자서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엄격한 태도는 한유 개인의 문학관이면서 동시에 당시 새로이 대두하던 신진사대부계층의 일반적인 세계관, 문학관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점 외에도 한유가 갖는 매우 큰 문학사적 의의는 바로 변려문을 능가하는 수준 높은 고문을 지어냈다는 점이다. , , , , 등 유가 사상을 주장한 논리적이고 기세가 강한 글 외에도 그는 서정성이 넘치는 , 명문으로 꼽히는 , 스승과 제자의 문답을 생동감 넘치는 대화체로 기록한 , 동료 유종원에 대한 뜨거운 정이 담긴 등 당대 최고의 문장으로 꼽히는 명문들을 지어냈다. 한유의 고문은 주제의 부각, 세부적 묘사, 압축과 함축, 남성적이고 압도적인 기세와 세련된 심미성의 조화 등 여러 측면에서 변려문의 문학적 성취를 능가하는 높은 수준을 과시하고 있다.
한유는 고대 문장으로의 복귀를 제창했지만 실제로 발표되었던 글은 결코 단순하게 복고의 틀 안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의 고문은 남북조시대를 통해 발달되어 온 변려문의 표현방식을 대폭 수용하였고 당시의 구어체와 새로운 어휘 등을 풍부하게 활용했을 뿐 아니라, 음악적인 감각과 다양한 기교를 적절하게 구사하여 실제로는 고대의 고문과는 차별화된 매우 세련된 새로운 산문이었다. 한유의 고문은 웅장하고 기세가 강하며 명쾌하고 날카로운 것으로 평정이 나 있다.

2. 작품배경
이 글은 맹동야(孟東野)를 이별하여 보내는 서(序)이다. 맹동야는 이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