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

 1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
 2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2
 3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3
 4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4
 5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5
 6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6
 7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7
 8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8
 9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9
 10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0
 11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1
 12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2
 13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3
 14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4
 15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5
 16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6
 17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명윤리]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

-뇌사란-

-각국의 뇌사 판정 현황

■ 찬성론 1- 죽음의 의미 ■

◆ 반대론 1-죽음의 의미◆

■ 반대론 2 -사회적, 윤리적 ■

■ 찬성론 2-경제적, 공리주의■

■반대론 3-의사들의 오진■

■ 찬성론 3-장기이식 ■

■반대론 4-장기이식의 문제점■



-장기이식 문제의 해결방안

본문내용
< 서 론 >

-뇌사란-

1. 최근 의학의 발달로 인위적 심폐기능을 어느 정도 연장할 수 있게 되었고, 인체의 최고기관은 심장이 아니라 뇌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에 사망의 판정 방법으로 새로운 기준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뇌사' 이다. 뇌사를 인정하는 경우에도 뇌사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i. 뇌간사설 : 뇌간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되었을 때를 뇌사로 인정하려는 학설.
ii. 대뇌사설 : 대뇌기능인 정신작용의 불가역적인 소실을 뇌사로 보려는 학설.
iii. 전뇌사설 : 뇌간을 포함한 전뇌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소실된 상태를 뇌사로 인정하 려는 학설
2. 현재 전세계적으로 법적으로는 전뇌사설이 인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장기등이식에관한법」에서 ꡐ뇌사자란 이 법에 의한 뇌사판정기준 및 뇌사판정절차에 따라 뇌 전체의 기능이 되살아 날 수 없는 상태로 정지되었다고 판정된자를 말한다ꡑ 고 규정함으로서 전뇌사설의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각국의 뇌사 판정 현황

1968년 8월 미국의 하바드 의과대학은 뇌사를 정의하는 특별위원회보고서를 통하여 "비가역적 혼수(irreversible coma)"의 정의형식으로 뇌가 영구히 기능을 상실한 상태를 명시하였고 같은 해 제 22차 세계의사회가 호주의 시드니에서 뇌사설 지지선언을 채택함으로 인해 뇌사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뇌사를 죽음의 한 형태로서 인정하기 시작한 최초의 계기가 되었으며, 세계 각국의 뇌사판정기준의 효시가 되었다.
현재 미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대만 등 수 십 개 국가에서 뇌사를 인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 의학적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대한의사협회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한 결과 1993년 3월 뇌사판정기준 및 뇌사자 장기이식 의료기관 요건을 제정하였으며 98년 10월에는 개정안을 마련하게 되었고 2000년 2월 9일 ‘장기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되었다.

■ 찬성론 1- 죽음의 의미 ■

1.뇌사와 죽음
엄밀한 의미에서 인간의 죽음은 생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는 세포사(cell death)로 규정하여야 하나 이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생명유지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심장, 폐의 기능정지를 죽음의 판단 시점으로 인정해 왔다.
1)폐장사(lung death); 호흡이 먼저 정지되고 후에 심장이 멈추어 사망.
2)심장사(heart death); 심장박동이 먼저 멈춘 후에 호흡이 정지되어 사망.
3)뇌사(brain death); 호흡과 심장박동의 조절중추 기능을 가진 뇌의 기능정지에 따라 곧이어 심장이나 폐의 기능이 정지하여 사망.정확한 의미에서 폐장사나 심장사 이기보다는 뇌사.에 해당.
4)인간의 죽음;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전체사가 아닌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의 폭을 갖고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써 어느 시점을 죽음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문제제기 가능. EH한 20세기 중반이후 인공호흡기와 인공 심장 박동기의 출현과 심폐소생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하여 사망할 수밖에 없었던 인간의 죽음을 기계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게 되면서 과거의 심폐기능 정지에 의한 사망개념의 가치의 감소. 반면 추가적으로 장기이식술이 발달함에 따라 뇌사의 인정에 대한 목소리가 대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이 분야 인기자료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