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

 1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
 2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2
 3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3
 4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4
 5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5
 6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6
 7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7
 8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8
 9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9
 10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0
 11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1
 12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2
 13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3
 14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4
 15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5
 16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6
 17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7
 18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8
 19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19
 20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개발] 비선호시설 입지관련 갈등관리 실패요인 분석 -부안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
1) 경제적 보상
2) 주민 참여
3) 제3자
4) 정부정책의 신뢰성
5) 언론보도의 태도

4. 분석틀


Ⅱ. 사례분석: 부안 방폐장 갈등 사례
1. 부안 방폐장 사례 선정이유
2. 부안 방폐장 갈등의 개요
3. 사례분석
1) 경제적 보상
2) 주민 참여
3) 제3자

4) 정부정책의 신뢰성
(1) 부정확한 정보의 제공
(2) 정부중심의 일방적인 사업추진
(3) 정부정책에 대한 주민들의 신뢰성 저하
5) 언론보도의 태도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사례분석
1) 경제적 보상
부의 외부효과를 지니는 시설물의 입지는 특정 비역에 비용-편익의 불균형을 발생시킨다. 이런 시설의 입지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해당입지지역에 집중되기 때문에 적절한 경제적 보상의 제공이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시설 입지 강행은 입지지역의 주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Bacow & Milkey, 1982:268) 적절한 경제적 보상이 갈등 관리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제적 보상 문제가 부안 방폐장 사례에서는 어떻게 작용하였는지 분석하여 보자.
부안 방폐장 유치 신청 이전에 정부는 방폐장 결정 지역에 대해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 등 법적절차에 따라 지정․고시하고 3,000억 원의 지역지원금과 정부 각 부처에서 지역개발사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하였다. (채강석, 2004) 특히 2003년 6월 4일 개최된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사업유치 관련 간담회에서 산업자원부는 시설설치 지역에 3,000억 원의 지원금 이외에 4,500~7100억 원 규모의 중앙정부 지원사업과 4,000억 원의 지역개발사업 등을 포함해 총 2조 1,000억 원을 투자할 방침 (서울신문 2003. 6. 7.)이라고 밝힘으로써 방폐장 경제적 보상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부안이 방폐장 유치 신청을 한 이후 2003년 7월 26일 부안을 방문한 산업자원부장관은 위도지역주민들에게 가구당 3억~5억 원의 현금보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약속을 하였다. 그러나 국무회의에서 현행법상 직접적인 현금보상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오자 현금보상대신 2조원이 넘는 지역개발투자가 고려되었다. 방폐장 이외에 양성자 가속기 설치와 한수원 본사 이전 등 8,600억 원의 핵심사업, 지원금 3,000억 원, 중앙 정부 지원 사업 4,500억 원, 산업단지․관광지․주거단지 등 각종 개발 사업에 4,900억 원의 투자를 약속하였다. (김길수, 2007)
위에서 살펴본 사례를 종합하여 아래와 같이 부안 방폐장 사례에 있어서의 경제적 보상 문제 관련 실패요인을 도출 하였다.
첫째, 경제적 보상은 입지정책 초기에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경제적 보상에 대한 정책은 부안이 방폐장 유치 신청을 하기 이전부터 수립되어 있었다. 부안 방폐장 유치 신청은 2조 1,000억 원이라는 지역개발사업으로의 경제적 보상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또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이나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설 사업 유치 간담회 등 경제적 보상의 근거도 있었다. 그러나 주민 대부분은 경제적 보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직접 보상 방식이 아닌 지역개발투자 방식의 간접 보상 방식은 경제적 보상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를 떨어뜨려 경제적 보상이 갈등관리에 효과적 기제로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였다. 즉 부안 방폐장 유치 갈등에서의 경제적 보상은 비교적 입지 정책 초기에 그 정책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갈등 관리 기제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둘째, 경제적 보상은 비용-편익의 적절 수준에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부안 주민들은 방폐장 유치로 인한 비용에 비해 지역개발투자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주장하였다. 방폐장, 한수원 본사 이전, 양성자가속기 사업으로 인한 고용효과는 5,240명 규모이고, 반입수수료는 5년 동안 85억 원이나 그 이후에는 이렇다 할 지원책이 없어 방폐장이 건설되는 몇 년을 제외하면 경제적 파급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다. (CBS 사람과 사람 토론 내용, 2005. 10.22) 즉 지역 주민들은 부안 방폐장 건설로 인한 경제적 보상이 부안 방폐장 건설로 인한 비용을 하회한다고 생각하였고 경제적 보상을 수용하지 못하였다. 부안 방폐장 유치 갈등에서의 경제적 보상은 주민들이 인식하는 비용-편익의 적절 수준에서 이루어지지 못했고 따라서 갈등 관리의 기제로 작용하지 못했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김길수. 2007.「위험시설 입지선정 과정에서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 부안 위도, 군산 방폐장 입지선정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김도희. 2001.「지방정부와 주민간 입지갈등의 갈등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울산원자력발전 소 입지갈등사례를 중심으로」.한국정책학회보. 제10권 제1호.
김상권. 2008.「공공갈등의 발생요인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서용․조성은․김선희. 2006. 「위험과 편익 사이에서 : 방폐장 수용성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3).
김선옥. 2001.「환경정책 결정과정의 딜레마 상황과 정책대응에 관한 연구: 낙동강의 수질 관리체계를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화. 2005.「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간의 갈등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부안 방사성폐기 물관리시설 유치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철. 1998. 「NIMBY와 PIMFY 현상의 정치적 갈등구조 비교:‘영광원전 5․6호기 건설사 업’과 ‘전남도청 이전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보. 32(1).
김이정. 2006. 「지역거버넌스의 정치적 갈등양태에 관한 연구 -부안방사성폐기물처리장 문제를 중심으로」. 원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철규․조성익. 2004.「부안 핵 폐기장을 둘러싼 갈등구조의 특징과 정치균열」
김현정. 2007.「방사성폐기물처리장 입지 갈등관리의 성패요인에 관한 연구: 부안ㆍ경주사 례를 중심으로」.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순애․이지한. 2005.「반복된 정책실패: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입지정책의 재조명」. 한국환 경정책학회
심준섭. 2008.「님비(NIMBY) 갈등의 심층적 이해」
안광일. 2005.「정책딜레마 상황에서의 정부대응에 관한 연구 -부안 방사성폐기물 관리시 설 건설 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상기. 2002.「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과 관련한 지역주민과의 갈등 저감방안에 관한 연 구」. 중앙대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병준. 2005.「지역사회갈등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용산구 서빙고 압축장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성규. 2005.「환경정의의 관점에서 본 핵 폐기장 건설」
이상팔. 1995.「지역주민의 위험정책수용에 관한 연구 : 원자력 폐기물처분장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행위자, 제도, 지역공동체의 영향을 중심으로」. 고려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승현. 2007.「도시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연구」. 한양대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영철. 2004.「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영. 2006.「청계천 복원사업과 부안 방폐장 유치사업의 갈등관리 비교연구」. 이화여대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우․이병관. 2005.「갈등적 쟁점에 대한 언론보도의 프레임 구성과 그것에 미치는 촉발 사건의 영향: 부안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유치 쟁점에 대한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임정빈․장우영. 2004. 「비선호시설 설치를 둘러싼 지방정부간 갈등 연구 - 청주․청원 광영 쓰레기매립장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8권 제1호.
전길헌. 2000.「혐오시설 입지갈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부산시 북구 화명2지구 쓰레기 소 각장 입지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북민언련. 2003.「핵폐기장 지역언론 보도태도 - 폭력성 과대포장 왜곡된 의제설정」.
참소리.
전정남. 2005.「비선호시설 입지선정과 주민갈등 극복에 관한 사례 연구 :하동군 공원묘지 및 공설납골당 사례를 중심으로」. 경상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상. 2000.「비선호시설 입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노원·목동·강남 쓰레기소각장 건설 사례의 비교분석」. 서울행정학회
채강석. 2004.「방사성폐기물처분장의 입지 수용요인」.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4).
채경석․김영평․김금수․김태창․정성학. 2007.「원전시설 주변지역 갈등관리 모델개발 : 경주 방 폐장 주변지역 갈등해소전략과 사용후 연료 중간저장시설 입지선정을 위한 수용성제 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외국문헌]
Bacow, Lawrence L., & Milkey, James R .1982. 「Overcoming Loval Opposition to Hazardous Waste Facilities : The Massachusetts Approach」Harvard Environmental Law Review vol. 6.
Brody. J. G. and Fleishman. J. K. 1993. 「Sources of Public Concern about Nuclear Waste Disposal in Texas Agricultural Communities.」 In R. E. Dunlap. M. E. Kraft and E. A. Rosa (eds). Public Reation to Nuclear Waster. Durham : Duke University Press.
Dunlap, R. E., Rosa, E. A., Baxter, R. K. AND Mitchell, R. C. 1993. 「Local Attitudes toward Siting a High-level Nuclear Waste Repository at Hanford.」 Washington. In Dunlap, R. E., Kraft, M. E., and Rosa, E. A. (eds.). Public reations to Nuclear Waster.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Elasterling, Douglas. 1992. 「Fair Rules for Siting a High-Level Nuclear Waster Repository」,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11(3).
Entman, Robert M,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1993
Jenkins-Smith, H. and Kunreuther, H. 2001. 「Mitigation and Benefits Measures as Policy Tools fir Siting Potentially Hazardous Facilities : Determinants of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Risk Analysis 21(2).
Kasperson, Roger. 1986. 「Six Propotions on Public Participation and Their Relevance for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vol.6.
Sjoberg, L. 2004. 「Transparency and Public Participation in Radiactive Waster Management」, SKI Report 2004:08, Swedish Nuclear Power Protectorate:Stockholm.
Slovic, P. and Fischhoff, B. 1983. 「How Safe in Safe Enough? Determinants of Perceived and Acceptable Risks.」 in C.A. Walker(ed.), Too Hot to Handle: Social and policy Issues in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기타자료]
서울신문. 2003.6.07
서울신문. 2003.7.26
조선일보. 2003.07.15
CBS. 사람과 사람. 2005.10.2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