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

 1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
 2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2
 3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3
 4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4
 5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5
 6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6
 7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7
 8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8
 9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9
 10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0
 11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1
 12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2
 13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3
 14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4
 15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5
 16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6
 17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7
 18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8
 19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19
 20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식민지 치하의 새로운 시 형태의 발견 -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일제치하 궁핍화 현상과 민족적 저항



Ⅲ. 새로운 시 형식의 태동



Ⅳ. 식민지 시대에 한국 시의 변화를 이끈 시인들

1. 자유시 개척의 선구자 - 주요한
2. 새로운 정형시의 탐구 - 김소월
3. 역사의식과 산문시의 탐구 - 한용운


Ⅴ. 맺음말



Ⅵ. 참고문헌



Ⅶ. 부록
본문내용
1) 정치적 군사적 저항: 상하이 임시정부
1919년 4월 10일 상하이에 성립된 임시정부는 1) 연통제를 실시하여 국내와의 연락망을 확보하고, 2) 1920년 상하이 무관학교를 세우고, 3) 중국 각 군관 학교에 독립 운동자들을 파견, 4)행동대를 훈련시키고, 5)만주의 독립군을 지원하고, 6) 사료편찬부를 두어 한국 독립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편찬한다. 그리고 7)정부기관지로 ≪독립신문≫을 발행하고, 독립 청원운동을 시작한다.
군사적 저항 역시 정부 하에서 행해지는데, 크게 만주 일대에서의 독립군 활동과 국내∙일본에서의 테러행위로 나뉠 수 있다.

2) 경제적 저항 : 조선 물산 장려 운동
식민지 치하에서 경제적 저항을 첨예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조선 물산 장려 운동이다. 이 운동은 , 운동이다. 하지만 이 운동은 두 편으로부터 공격의 대상이 된다. 하나는 조선 총독부의 관권에 의한 제지∙억압이며, 또 하나는 급진 좌파의 청년들에 의한 공격이다. 조선 총독부는 이 운동이 일화 배척 운동이라고 판단하고 제지∙억압한다. 급진 좌파에 의한 비판은 이 운동이 이라는 데에 주어진다. 여기서 조선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좌우 토론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좌파에 의하면, 이 운동은 을 목표하고 있는데, 그것은 불가능하며 그런 의미에서 는 것이다. 이에 대한 우파 민족주의자들의 대답은 민족 자본의 축적이 정치적 독립 없이 불가능하다 하더라도, 해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이 운동은 라는 것이다. 결국 이 논쟁은 조선 물산 장려 운동이 농민을 희생시키고 소부르주아를 민족이라는 이름 아래 장려하려 한 운동인가, 아니면 민족 역량의 육성 개발이라는 긍정적 측면만을 보여주는가라는 것으로 집약될 수 있다. 그 논쟁에 대한 한 연구가의 잠정적 결론은 이렇다.

이상의 논쟁에서 느껴지는 것은 물산 장려 운동을 비난하는 쪽이나 지지하는 쪽이나 모두 마르크스 이론에 입각하여 논박 및 반론을 펼치고 있다는 점이다. 당시의 마르크스주의 사상은 이미 우리 나라에는 깊이 침투하여 왔고 반제국주의 투쟁에서는 유일한 이론적인 근거점이 되고 있었던 사실을 이 이론을 통하여서도 볼 수 있다. 다음 이 논쟁에서 느껴지는 또 하나의 사실은 급진 좌파의 비난은 그냥 비난에 그쳐 건설적인 대안이 없었으며 국민을 일종의 니힐리즘으로 몰아넣는 결과밖에 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점은 좌파 청년 운동이 당시에 단순한 민중의 선동에 그치고 만 전략적인 결함이 있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조기준, 「물산장려운동」,『한국현대사 8』, pp. 22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