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

 1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
 2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2
 3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3
 4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4
 5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5
 6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6
 7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7
 8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8
 9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9
 10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0
 11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1
 12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이태준의 `복덕방`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복덕방」의 교육론을 위한 예비적 작업
2. 교과서와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 본 현 교육방법론의 점검과 비판
3. 본질적인 문학 교육의 측면에서 바라본 「복덕방」
Ⅲ. 결론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7차 교육과정에 제시한 국어과의 교육 목표는 언어 활동과 언어와 문학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언어 활동의 맥락과 목적과 대상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국어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국어의 발전과 민족의 언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는 것이 핵심이다. 즉 이것은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 향상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국어 교육의 목표와 연계시켜서 볼 때에, 문학교육은 문학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통하여 문학 활동을 길러, 자아를 실현하고 문학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바람직한 인간을 기른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러한 국어 교육과 연계하여 문학 교육의 목표가 바람직하게 달성되었을 때에, 문학에의 바람직한 교육이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문학 교육의 목표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는 지의 점검의 한 방법으로, 본고에서는 현 문학 교과서의 한 작품을 선택해 그것의 교육방법론을 점검하고 반성한 후, 대안을 제시한 후 본질적인 문학 교육의 측면에서 바라본 작품의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작업을 통해서 문학 교육의 긍정적 방안을 모색해 보려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18종 문학 교과서 중 「문학 하」,(주)교학사의 내용 중 단원에 실려 있는 「복덕방」 을 선택해 관련 단원을 검토해 보고,
참고문헌
「고등학교 문학 하」교과서, (주)교학사, 2003
「고등학교 문학 하」교사용 지도서, (주)교학사, 2003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2001
구인환 엮음, 「고교생이 알아야 할 소설」, (주)신원문화사, 1999
김형주 외, 「다다 언어영역 고급편」, 다다, 2004
이병렬, 「이태준 소설연구」, 평민사, 1998
장영우, 「이태준 소설연구」, 태학사, 1996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2003
황종연, [반근대의 정신 - 식민지 시대 이태준의 단편소설에 관한 한 고찰], {세계의 문학}, 1992
Raymond J,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박인기 외 역, 박이정,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