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

 1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1
 2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2
 3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3
 4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4
 5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5
 6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6
 7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7
 8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8
 9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9
 10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10
 11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11
 12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12
 13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

1.가사의 이해
1)가사의 정의
2)가사의 명칭
3)가사의 기원
4)가사의 분류와 내용
2.종교가사와 불교가사의 이해
1)종교가사의 정의
2)종교가사의 분류
3)불교가사의 배경사상
4)불교가사의 작가 및 작품
3.불교가사 『서왕가』 작품분석
1)작품배경 및 작가 이해
2)작품분석
3)작품 특징 및 작품 의의
1.가사와 종교가사
1)가사의 정의
가사는 시조문학과 함께 조선시대 장·단가 시가문학을 형성해 온 주도적 국문학 장르의 하나로서 그 작품의 양적 풍성함은 시조문학을 능가한다. 가사는 4음 4보격 4음으로 구성된 4보격
이라는 율격 장치 외에는 특별한 장르적 제한요건을 요구하지 않는 개방성 가사의 장르적 속성
으로 인해 폭넓은 주제를 담은 다양한 작품을 생산하고 축적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 향유방식에 있어서는 음영을 중심으로 가창과 완독(독서)의 방식을 융통적으로 운용하며, 향유문화권에 있어서도 장르 발생 이후 사대부권에서 주도적으로 향유되다가 후기에 이르면 점차 규방과 여항에 걸쳐 확산되는 개방적 문화현상을 드러낸다.
2)가사의 명칭
가사(歌詞)란 명칭은 대개 음악적인 면에서 ‘우리말 노래’를 뜻하나, 일반적으로 노랫말 즉 노래의 대사(臺詞)를 뜻하는 말이다. 『악장가사』에 쓰인 歌詞가사란 용어는 한시로 된 악장에 대한 우리말 노래란 뜻으로 『지붕유설』과 『복헌집』에 쓰인 歌詞가사란 용어는 우리나라 시가란 뜻으로, 『시용향락보』에 쓰인 歌詞가사란 용어는 악보에 쓰인 詩詞시사 노랫말
의 뜻으로 쓰였다. 이렇게 가사라는 용어는 주로 악곡을 수반한 시가를 뜻하는데, 12歌詞가사가 그 좋은 예이다. 그리고 歌詞가사란 용어는 시조와 가사를 함께 지칭하거나 가사 작품만을 지칭하기도 하였다.
한편, 歌辭가사라는 명칭은 대개 시조와 가사를 포괄적으로 가리키고 있다. 정철의 『송강가사』에는 과 같은 가사 뿐만 아니라 와 같은 시조도 함께 실려 있으며 윤선도의 『고산유고』 권6에는 시조를 수록해놓고 전체 제목은 歌辭가사라 하였다. 이렇게 명칭이 여러 가지로 사용된 것은 장르개념이 없이 편의에 따라 수의로 부르거나 표기한 결과이다. 하지만 오늘날 장르 명칭은 ‘가사’로 굳어졌으나 한자 표기는 ‘歌詞가사’ 혹은 ‘歌辭가사’로 달리 쓰이고 있다. 歌詞가사의 ‘詞사’자나 ‘歌辭가사’의 ‘辭사’자가 다 같이 말이나 말이 글을 이룬 것이란 뜻이므로 오늘날 우리가 감상하거나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가사는 문학상 갈래 명칭임을 염두에 둘 때 음악의 노랫말인 歌詞가사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歌辭가사로 표기하는 것이 옳을 것 같다.
3)가사의 기원
음영, 가창, 독서의 형식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계층이 수용할 수 있는 가사의 기원을 살펴보면, 어느 하나로 단언하기가 어려우며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먼저 고려 속요 또는 경기체가에서 파생된 것이라는 것과 고려의 장가가 분장법과 후렴이 없어지면서 읊어진 노래라는 것,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 등의 시형, 4음보 연속체의 교술 민요가 기록 문학으로 전환 되면서 이루어졌다는 기원설로 살펴볼 수 있다.
4)가사의 분류와 내용